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km 해상도는 두 격자점의
거리
가 약 25km임을 의미한다. 고해상도 모델일수록 격자 사이의
거리
가 더 가까우며 기후를 더 사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반면, 이를 수행하기 위한 많은 컴퓨터 자원이 요구된다. 열대 폭풍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5km의 고해상도 모델이 필요하다. ▶ ... ...
[특별 기고] 우리는 왜 탐험을 해야 하는가?
2018.04.12
준다. 그러나 동굴 생활이 이어질수록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물을 얻을 수 있는 곳까지
거리
도 멀고, 불을 지피면 매캐한 연기가 동굴 안을 가득 채운다. 그래서 결국 누군가 동굴에서 나가 주변에 살만 한 곳이 있는지 가 보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동굴 속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 ...
ETRI, 낮시간 무선 양자통신 국내 최장
거리
전송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2016년 쏘아 올린 양자위성 묵자호를 통해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비엔나 사이 7600km 떨어진
거리
에서 양자통신에 성공한 바 있다. 다른 국가들은 지상에서 무선 양자암호통신를 구현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상황이다 ... ...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04.11
들어차는 시점이 되면 점성을 정의하기가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입자들 사이의
거리
가 가까워지면서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도 점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죠. 마요네즈가 바로 이런 상태입니다. 용액 속 기름방울들이 마치 만원버스 속에 탄 사람들처럼 움직이기 어렵게 된겁니다. 클라스 ... ...
[표지로읽는 과학] 야생‘馬’는 언제 사람에게 길들여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07
20세기 초까지 최고의 이동수단은 단연 ‘말(馬)’이었다. 문화인류학계에선 인류의 이동
거리
가 말을 통해 크게 확장되면서 언어와 농사법 등 각종 문화적, 경제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로마나 원나라같은 여러 제국의 정복 전쟁들이 일어날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인류사와 밀접한 ... ...
대왕 고래의 거대한 심장
팝뉴스
l
2018.04.06
제공 최근 해외 SNS에서 화제가 되고 논란
거리
도 된 이미지다. 동물의 심장이라는 설명이 있었지만 도저히 믿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너무 크기 때문이다. 사진은 실제 동물의 심장이다. 다름아니라 대왕고래(blue whale)의 심장이다. 위 사진들은 캐나다 온타리오 왕립 박물관에서 2017년 전시를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선 충전 조명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06
유도’라고 해요. 보통 이런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은 충전기와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
가 1cm 내로 가까워야 잘 된답니다. 목표인 휴대전화 무선 충전기의 모습 - 어린이과학동아 7호 제공 ● 본격 메이킹 비법 - 나만의 무선 충전 조명등 만들기 비법 1. 전선을 동그랗게 감아라! ... ...
“연구실 밖 잠재고객 100명 인터뷰로 창업 성공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그는 수직 이착륙을 할 수 있고 최대 시속 100㎞를 자랑하는 길이와 폭 1m, 무게 10㎏의 장
거리
고속비행 무인기(드론) ‘에어파인더’(가칭)로 연구소기업 창업을 준비하고 있다. 그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해 과기정통부 ‘한국형 아이코어(I-Corps) 사업’의 실험실 창업팀으로 선발돼 미국에서 연수를 ... ...
블랙홀, 얼마나 많나...우리 은하 중심에만 1만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주변과 상호작용할 때 나오는 X선 신호를 찾아 냈고, 궁수자리 A* 주위 3광년 이내
거리
에 12개의 블랙홀이 있음을 확인했다. 헤일리 교수는 논문에서 “공간적으로 블랙홀의 분포를 정밀 계산하면 약 1만개의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력파 연구도 발전할 ... ...
90억년 밖...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8.04.03
구부려 그 뒤에 있는 천체가 확대되어 보이는 '중력 렌즈' 현상 덕분이었다. 50억 광년
거리
의 은하계가 90억 광년 떨어진 별을 확대해 보여주는 거대한 '우주 망원 렌즈' 역할을 한 셈이다. 통상 이같은 중력 렌즈는 천체를 50배 가량 확대해 보여주지만, 이번 경우엔 다른 별이 우연히 적절한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