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차 ‘블러드하운드’ 새 주인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수학) 진로로 이끌었다”고 써있다. 워허스트는 BBC에 “블러드하운드는 위대한 영국
공학
기술의 상징이자 교육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블러드하운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 ...
[랩큐멘터리] 지구온난화 증거 찾는 기후변화 추적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어떻게 변할지를 알아내 정확히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다. 포스텍민승기 환경
공학
부 교수 최첨단 기후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연구실의 주 무기다. 단기간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십 km 해상도로 전 지구를 분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 ...
스마트폰처럼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필요가 없어 장기간에 걸친 동물 실험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팀은 김정훈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팀과 함께 ‘뇌 완전 이식형 무선 광유전학 기기’를 개발했다고 이달 26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터넷판 1월 22일자에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미래융합연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패널토론이 끝난 후 한국물리학회, 대한전자
공학
회 등 기초 및 응용과학분야 학회장 및 관련 기관장도 온라인으로 참여해 우주탐사와 기초 및 응용과학의 연계 필요성을 논의했다 ... ...
웨어러블 기기 적용 친환경 나노발전기 개발 청신호
연합뉴스
l
2021.01.25
개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산대는 황윤회·오진우 나노에너지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홍콩대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주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바이오 물질 나노 발전기의 압전과 변전 특성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 개발에 ... ...
이스라엘 16~18세 백신 접종 시작...백신 등교 결정 충분조건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 중이다. 이달 초에는 미국 생명
공학
기업인 모더나의 백신도 승인해 공급에 들어갔다. 화이자 백신은 16세 이상에 접종 가능하다는 조건으로 긴급사용승인을 얻었고, 모더나 백신은 18세 이상에만 접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 ...
[과기원은 지금] GIST 양자중첩 적용한 절대보안 무선통신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리포트' 인터넷판 1월 21일자에 실렸다. ■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전기전도성이 약 140배인 향상된 유기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기반도체는 접히는 디스플레이처럼 유연한 전자장치에 필수 부품이지만 전기전도성이 낮아 실용성이 부족했다. ... ...
SKT, 유전자 분석으로 불면증·복부비만 관리한다
연합뉴스
l
2021.01.25
밝혔다. 케어8 DNA는 SKT가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기업 인바이츠헬스케어, 정밀의학 생명
공학
기업 마크로젠과 함께 지난해 9월 선보인 DTC 유전자 검사 기반의 건강 코칭 서비스다. DTC(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는 소비자가 의료기관이 아닌 민간기업에 직접 의뢰해 받는 유전자 검사를 말한다. ... ...
디지털
공학
은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연구 주제 때문에 해외 유학생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밝힌다. 김 교수가 펴낸 ‘
공학
의 미래’는 인터넷에서는 20일부터, 대형서점에서는 21일부터 판매하고 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2021.01.25
빠르게 분해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RNA에 대한 생‧물리‧화학적 이해 증진과 유전
공학
의 발달이 이를 해결했다. 염기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mRNA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다. mRNA 백신은 15년 전부터 연구가 진행돼 왔다. 그러나 그동안 임상시험의 성공 사례가 없어 개념 입증이 되지 ... ...
이전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