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SNS 내 얘기’는 돈만큼 짜릿하다
과학동아
l
201206
제임스 페너베이커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맞는 것 같다”며 “우리는 다른
사람
들이 자신의 얘기를 들어주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그렇지 않으면 트윗을 할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06
비교했다. 붉은털원숭이는 2500만 년 전에
사람
과 갈라져 진화했다. 결과는 희망적이었다.
사람
이 잃어버린 유전자 중에서 붉은털원숭이가 아직 지니고 있는 유전자는 하나에 불과했다. 2500만 년 동안의 변화가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이다. 앞으로도 이런 비율을 유지한다면 1000만 년 동안 Y염색체가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06
74쪽).”우리나라에서 꿀벌의 배설물을 연구하겠다고 하면 연구비를 타기는 커녕 이상한
사람
소리만 안 들어도 다행이다. 아니 이런 걱정조차 필요없을지 모르겠다. 곤충 연구 자체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니까 말이다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06
[인간의 뇌를 52개 영역으로 구분한 브로드만 지도. 각 영역은 세포 구조가 서로 다르다.]
사람
의 뇌에는 예쁜꼬마선충보다 수십억 배나 많은 1000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들이 있고, 신경세포들 사이의 연결인 ‘시냅스’는 100조 개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 13년 만에 완전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06
되도록 노력하라”는 것이다. 여러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연구인만큼 여러 분야의
사람
들과 함께 모여서 협동연구를 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리더십 등이 필요하다.수학을 좋아하고 연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도전해 보자. 핵심기술인 만큼 진출할 수 있는 분야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정을 드러내”
과학동아
l
201206
푸른 숲과 조화를 이룬 UNIST 교정에 들어서자 새로 지어진 깔끔한 연구동 건물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UNIST는 이공계 중점대학으로서 더 우수한 학 ... 연합회 집행부, 봉사동아리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다이내믹한 김은지 양. 그라면
사람
들을 즐겁게 해 줄 무언가를 만들어 낼 것 같다 ... ...
읽는
사람
의 시각에서 쓰자
과학동아
l
201206
질이 탁월한가3.
사람
들이 보는 글인가(글의 조회수)4. 지면에 실린 기사인가5. 다른
사람
의 글에 댓글을 남겼는가※동아리 현장 취재 후 올린 기사에는 가산점이 있습니다. 청소년 기자가 과학특별시 카페(cafe.naver.com/dsciencecity)의 ‘해외탐방 미션’에 올린 글도 심사에 포함합니다(‘시장3’에게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06
더 좋았을 것이다. 독자의 시각에서 쉽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도 기사를 쓰는
사람
이 항상 고민해야 하는 숙제다. 과동 픽업에 선정된 김두영 양의 ‘저절로 울리는 드럼’은 생활 속에서 맞닥뜨린 일을 소재로 삼았다. 소리의 진동이 드럼을 울릴 수도 있다는 일상 생활 소재를 바탕으로 소리와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06
와 있습니다. 바로 어제 이곳에서 박사님에 대한 대중 강연이 열렸는데, 수많은
사람
이 와서 자리를 꽉 채웠답니다. 또한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아 세계 곳곳에서 강연회, 학술대회, 시민참여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수학과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생물학, 물리학 등 박사님이 영감을 준 여러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06
알고 성장해왔다는 것은 믿기 힘든 사실이다. 비유하자면 어떤 도시에서 가장 무거운
사람
의 몸무게로부터 그 도시 인구 몸무게 총합을 구할 수 있다는 것과 비슷하다.그렇다면 거대질량 블랙홀과 은하 중 어느 쪽이 먼저 생겼을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 나왔느냐와 같은 이 질문은 아직도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