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든 이유는 기차 때문이었어요. 19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자기가 사는 마을에 뜨는 태
양
을 보고 시간을 알았어요. 하지만 기차가 발명되자 문제가 생겼어요. 한 대륙을 통과할 때 수많은 마을을 거치는 데, 그 때마다 각 마을의 시간에 맞게 시계를 다시 맞춰야 했거든요.그래서 세계의 시간을 정리해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프리즘 모
양
이다갈락토오스 대사(代謝)의 출발점을 구성하는 중간대사물 대체로 영
양
소로서 생체세포에 들어온 갈락토오스는 갈락토키나아제의 작용으로 ATP와 반응하여 α-d-갈락토오스-1-인산이 되고, 핵소오스-1-인산우리디릴전이효소의 작용으로 우리딘이인산갈락토오스를 거쳐 글루코오스-1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늘을 수놓는 별똥별을 바라보며 한해 소원을 빌어보자.● 1월 22일 수성 동방최대이각태
양
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에서 볼 때 가장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낮게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를 위해서는 마이코플라스마에 기반을 둔 현재 유전체 설계 수준을 뛰어 넘어 다
양
한 유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해 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하튼 벤터 박사의 합성유전체와 반(半)합성세포 연구가 인간이 새로운 세포를 합성하는 ‘생명 2.0’ 시대를 한층 앞당기고 있다는 사실만은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별다른 자료나 정보가 없다. 바로 정보 유출 때문이다. 생체에서 일어나는 다
양
한 현상을 모방해 나노구동기를 만드는 연구단에서는 아이디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근육을 이루는 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을 모방한 근육칩의 경우도 이러한 발상 자체가 어렵지 기계나 제품으로 만드는 일은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0}^{-15}$을 나타내는 접두어 15를 의미하는 덴마크어 femten에서 유래했다 몰(mole)은 물질의
양
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다 탄소($^{12}{C}$)에 아보가드로 수(602×${10}^{23}$)만큼의 입자를 포함하는 물질의 집단을 1몰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수소원자 1몰의 질량은 근사적으로 1008g, 분자의 경우는 2016g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국제 전문가들의 활동을 돕고 있는 해
양
연 강성길 연구원은 “선진국들은 많은 해
양
오염사고를 경험하면서 생태계 복원에 대한 노하우도 축적했다”며 “이들이 내놓을 조사보고서는 한국의 방제 당국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재가 자연에 낸 상처가 빨리 아물 수 있도록 모두 힘과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포함되어 있는 항을 말한다 이 경우 y값은 x값의 변화에 비례해서 변하지 않고, 복잡한
양
상을 띨 수 있다 예를 들면 y=1/x²이라는 방정식에서 x=01일 때 y값은 100이지만, x=011일 때 y값은 8264이다 만약 x값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면 y값이 무려 1735나 달라지게 된다 이런 일이 여러 번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덜 받는 유화는 150lux 내외로 유지한다. 약한 빛이라도 오래 쬐면 그림이 받는 빛의
양
이 누적되므로 전시하는 작품을 계속 교체해야 한다.11월 24일 드디어 ‘불멸의 화가 고흐전’이 시작됐다. 고흐의 작품을 느끼고 호흡하는 관객들을 보니 지난날의 고생이 눈 녹듯 사라지는 것 같다. 전시를 마치고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맛을 들이면서 사용하는
양
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지난해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
양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이 하루에 먹는 고추 섭취량이 1998년 5.2g에서 2005년에는 7.2g으로 40%가량 증가했다. 1인당 1년 고추 소비량은 2.6kg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사실 고추소비 증가는 우리나라만의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