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추적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같은 종인지 아닌지 알기 위해 개체 하나하나를 직접 교배시켜볼 수 있을까요. 불가능합니다. 시간과 돈이 많이 들고 윤리적인 문제가 큽니다. 특히 그 대상이 인간과 가까운 동물이거나, 아예 인간 자신이라면 문제는 더 커집니다. 예를 들어 인간과 가장 가까운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도면, 번역판 외국 과학잡지 등을 구해다가 직접 연구했다. 개울에 배를 띄우고 싶으면 직접 나무토막을 끌로 파서 선체를 만들고, 고물상 등에서 전기 모터 등을 구해 프로펠러를 끼워 소형 모터보트를 들고, 소형 비행기를 하늘에 띄워 보곤 했다. 집 옥상에서 로켓을 발사해보다가 폭발사고를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황 교수가 하는 연구들이 그 영역의 끝에 있다. 글의 서두에 이야기한 전시는 건축과 직접 관련이 없는 황 교수 개인의 일이지만, 황 교수는 역시 넓은 의미에서 연관이 된다고 본다. 적어도 최근 건축가의 달라진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는 된다. “원래 순수미술을 하는 쪽에서 디자이너를 부르는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년을 뛰어 넘은 스마트한 실험이 시작된다!MISSION 1 망원경의 달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나는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들여다봤어. 아마 지구인 중에서는 처음일 거야, 에헴. 1609년에 만든 최초의 망원경은 물체를 3배 정도 확대할 수 있었지. 하지만 이후 렌즈와 경통을 조합해서 20~30배 짜리 ... ...
- 사회적 거리 가까울수록 눈치 더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이용해 이들의 의사 결정 과정을 분석했다.그 결과, 개인들이 서로 직접 연결됐을 때(직접적 압력)는 최초로 동의에 도달했을 때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료들과 정확히 연결되지 않았을 때(간접적 압력)는 그룹 전체가 합의에 도달했을 때 의사 결정이 이루어졌다. 즉, ... ...
- [수학뉴스] 완벽한 피자를 만들기 위한 수학 공식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깔 토핑의 비율은 오른쪽의 공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공식 속 상수 15는 그녀가 직접 다른 크기의 피자를 여러 번 만들어가며 실험적으로 얻은 상수다. 피자 공식에 따르면 토핑의 비율은 피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더 작은 피자는 큰 피자보다 상대적으로 토핑을 더 두껍게 올려야 맛있는 ... ...
- 2013 나만의 ‘과학 포트폴리오’ 만들기 뉴칼레도니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신나는 여름방학! 올해에는 어디를 갈까? 시골에 계신 할머니를 찾아가 옥수수 하모니카를 불어 볼까? 아니면 생각만 해도 아찔한 롤러 ... 기자가 직접 지도하고, 어린이과학동아의 노하우가 듬뿍 담긴 ‘과학 포트폴리오’까지 직접 만들어 올 수 있어서, 더 없는 해양 탐사가 될 것입니다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생산라인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2m 길이의 레고 모형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접 움직이는 공장의 이곳 저곳을 살펴보고, 생산라인의 구성 요소나 형태, 움직이는 방법, 제품의 생산량 등을 바꿔가면서 실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매스 CEO의 조언 ➍ 유럽에 가려면 중국을 들렀다 가라고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되니 매우 기쁩니다.보석 감정에 대해 배우러 멀리서 왔으니, 가장 간단한 테스트를 직접 해 볼까요? 여기 천연 다이아몬드와, 다이아몬드처럼 보이지만 성분이 다른 유사석이 있습니다. 이 둘을 뒤집어서 종이의 검은 선(혹은 점) 위에 올려놓아 볼게요. 천연 다이아몬드는 검은 선이 비치지 않아요.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수, 서던캘리포니아대(USC) 화학과의 아리에 와르셸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세 과학자는 직접 실험을 하지 않고도 고분자의 움직임과 화학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참(CHARMM)’을 개발했다. 화학은 물론 생명과학과 소재공학 분야에 참이 미친 영향은 실로 크다. 어떤 ... ...
이전3723733743753763773783793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