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뉴스
"
존재
"(으)로 총 6,34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아지를 닮은 구름
팝뉴스
l
2019.04.26
뛰어오르면 저런 모양이 나온다. 해외 네티즌들 중 일부는 실제 저런 구름이 얼마든지
존재
한다며 조작을 확신하면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반론도 만만찮다. 구름 전체가 아니라 코와 입은 포토샵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사진을 보면 볼수록 헷갈려 논란은 끝이 없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이 뇌 조직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뇌를 다른 동물에게 이식해 자라게 하면 이
존재
는 사람일까 동물일까.”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미국의 생명과학자와 법학자 17명이 발표한 입장문 내용의 일부다. 당시 학자들은 “인간의 뇌 복제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과학은 태생부터 지금까지, 협업을 통해서만
존재
할 수 있는 학문이다. 과학이 천재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건 픽션에 불과하다다. 과학은 처음부터 협동조합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만 작동할 수 있게 만들어진 학문이다. 고독한 천재가 아무리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타오르게 할 것 같은, 정말로 핫(hot)해서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넣고 두려움에 떨게 하는
존재
로 떠올랐다. 이런 붉은불개미를 포함한 모든 개미 종류는 전 세계 어디에나 있는 생태계 내 최강자다. 인간처럼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구성원들 간에 협동을 하고 환경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 ...
“전자통신 기술의 주연은 기업, ETRI는 명품 조연 역할하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ETRI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하드웨어 엔지니어, 소재 연구자 등이 다양하게
존재
하는 만큼 특정 분야 기술에 집중하기보다는 모두가 제대로 연구할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고 부정의 뜻을 보였다. 김 원장은 최근 연구원의 사기가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유는 역할의 변화다. 지난 정부부터 ... ...
영화속 스파이디와 앤트맨, 곤충 공포증 극복에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관계는 없었다. 연구팀은 “영화 속 일반적인 화면과 공포증 감소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존재
하지 않았다”며 “이는 영화 속 거미나 개미의 직접적인 등장이 공포증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에즈라 교수는 “공포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수퍼 히어로 영화가 도움이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지역 별 또는 국가 별 유전체 차이’는 통계적으로 미미한 만큼 지역 별 유전체 표준의
존재
필요에 의문을 표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전체 의학 연구자들은 이번 정보를 통해 유전체 해독과 분석, 임상 응용에 정밀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성주헌 서울대 교수는 “한국인에게 적합한 ... ...
"땅 파지마" 자원·암반·CO2저장 연구 전국 곳곳 중단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지열발전과 달리 파는 깊이가 얕은 편이다. 이산화탄소는 지층 속 토양 알갱이 사이에
존재
하는 공간인 ‘공극’에 스며들어 저장된다. 육지가 아닌 바다에 구축하게 되며, 일부러 지층에 압력을 가해(수리자극) 공극을 넓히고 길을 내야 하는 지열발전과 달리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를 ... ...
권면 "중이온가속기 ‘라온’ 2021년까지 차질없이 구축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가속시켜 다른 표적에 충돌시킨다. 이때 2차로 생성되는 입자를 이용해 주기율표 상에
존재
하지 않는 원소를 찾아내 우주 탄생의 근원을 연구한다. 희귀동위원소를 발굴해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활용할 수도 있다. 중이온가속기는 전자를 가속시킬 때 회전운동으로 나오는 빛인 ‘방사광’을 ... ...
연속적인 동해 지진, 활성단층 지도 없어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연구팀이 처음으로 밝힌 거대한 구조물이 이번 지진 발생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곳에
존재
하고 있다. 동해 지각이 한반도 남쪽으로 파고들고 있다는 주장도 함께 주목 받게 됐다. 사진 제공 학술지 김기범 ... ...
이전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