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백혈병에 걸린 어린 소녀 아름이. 병원에서 시름시름 앓고 있던 아름이에게 최근 들어 새로운 희망이 생겼다. 아직까지 치료가 힘든 난치병인 백혈병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 지난 5월 19일 영국 런던에서 우리나라의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난치병에 걸린 환자에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12
파키스탄과 인도에서 일어난 지진 때문에 200만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곧 매서운 겨울을 맞을 이들을 위해 빠르고 싸게 만들 수 있는 텐트가 최근 개발됐다. 이 텐트는 추위와 강풍 실험을 통과했다. 재료시험에서 시료조각의 단면적 변화를 무시하고, 최초의 단면적으로 외력을 나눈 값둘 또는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12
“아이고, 팔다리가 쑤신다. 비가 오려나?” 할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시면 하늘은 마치 할머니와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어김없이 비를 뿌린다. 할머니에게는 ‘팔다리가 편안한 정도’가 날씨를 가늠하는데 이용되는 변수인 셈이다. 기상학자들은 할머니보다 훨씬 많은 변수를 모아 날씨를 예측한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12
얼마 전 막을 내린 드라마 '장밋빛 인생'에서 말기 위암을 앓고 있는 맹순이(최진실)가 배를 움켜쥐고 방바닥을 뒹굴며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에 많은 실제 환자들이 공감했을 것이다. 고통이 없다면 우리 삶도 드라마 제목처럼 그저 장밋빛일 것만 같다.여기 매일매일 고통의 메커니즘을 파헤치는 사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12
아마존의 사막화가 계속되면서 서식지를 잃은 흡혈박쥐 떼가 북부 브라질을 휩쓸며 사람에게 광견병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다. 흡혈박쥐에 물린 사람은 1000명이 넘고, 이 중 20명이상이 사망했다. 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12
‘음악’하면 제일 먼저 뭐가 떠오르는가. 40대라면 정장을 차려입고 콘서트홀에서 우아하게 클래식을 즐기는 장면? 30대라면 중학교 때 처음으로 워크맨을 사고 기뻐서 폴짝폴짝 뛰던 기억이나 몇 단 짜리 책장을 꽉 채운 CD들이 아닐까. 10대와 20대라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담긴 MP3플레이어를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12
한반도에서 일기예보는 언제 시작됐을까? 기상관측의 시점은 널리 알려진데 반해 기상예보의 시작을 기록한 자료는 지금까지 없었다. ‘1905년 11월 2일자’ 일기도 한 장만이 가장 오래된 일기도로 기록됐지만 그 내용이 상세히 알려지지는 않았다.얼마 전 그보다 하루 전인 11월 1일을 기록한 일기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12
'인간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도움을 준 노성일 이사장에게 감사한다.’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2004년 3월 12일자에 실린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석좌교수팀의 논문 마지막 부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세계 최초로 복제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했다는 내용의 이 논문은 황 교수를 일약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12
뇌에도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이 있을까? KAIST 김대수 교수는 “그렇다”고 말한다. ‘뇌의 톨게이트’라고 할 수 있는 시상핵은 모든 감각 자극이 뇌로 전달되는 관문이다. 이 시상핵 관문이 닫히면 의식을 잃게 되고 관문이 활짝 열리면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김 교수가 이끄는 신경유전학연구실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12
20세기 초만 해도 뇌는 블랙박스라서 한 덩어리로 취급해야 한다는 생각이 보편적이었다. 심리학도, 교육학도, 뇌 발달도 이 가정을 바탕으로 입력과 출력을 연구했다. 이는 ‘본성과 양육’ 논쟁에서 양육을 강조하는 생각으로 이어지고, 사람은 누구나 같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 ... ...
이전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