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국 수학의 달은 4월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레이건 대통령이 1986년 일상생활 속에 수학이 깊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을 대중에게 알리고 수학 연구를 활성하기 위해 수학주간을 선언했어요.”그러니까 미국은 4월이 수학의 달이로군요. 수학 행사라고 하면 잘 안 떠오르는데, 미국에선 어떤 활동을 하나요?“매년 주제를 정하고 각 분야의 ...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꼭짓점은 점 C라고 하자.점 A와 C 사이의 거리를 재니 약 150cm다.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알았으니 이제 A지점에서 학교 건물까지의 거리 구하기는 식은 죽 먹기.점 A와 B 사이의 거리가 약 5m(500cm)인데, 이것을 10cm에 대응시켰으니 전체를$\frac{1}{50}$로 줄인 셈이다. 이 관계를 비례식으로 세우면 1:50=150:x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설계도는 황산사님을 만나서 다시 고치면 돼요. 황산사님이라면 어디가 잘못된 건지 알아내실 거예요.”“근데 황산사는 멀쩡할까? 우리야 곤장만 맞았지만, 황산사는 모진 고문도 당했다던데….”“끄떡없어. 앓아누웠다가도 연월기 얘기만 들으면 벌떡 일어날 사람이 바로 황산사잖여.”“히힛!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어떤 관계가 있는 걸까?지진의 규모는 지진계가 관측한 자료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알 수 있다. 땅속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지진계는 그 움직임을 기록한다. 지진계에서 눈여겨볼 수치는 지진파의 진폭이다. 진폭이 클수록 지진의 세기는 커진다.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리히터 규모’는 가장 큰 ... ...
- [Sports Math] 골프, 핸디캡 얼마면 타이거 우즈 이길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골프채를 알기 전에 먼저 어떤 기준으로 기준타수를 3번이나 4번, 5번으로 정했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골프채는 종류에 따라 공을 보낼 수 있는 거리가 다른데, 대부분의 코스가 거리에 따라 기준타수를 정해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미국골프협회는 기본적으로 거리를 기준으로 기준타수를 정하고 ...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영향을 발표하면서 독성학의 문을 열었다.이미 죽은 시신을 놓고 어떻게 죽었는지를 알아내는 일도 중요하지만 범인이 두고 간 물건이나 현장에 있던 물건에서 결정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도 필요했다. 최초로 주목한 결정적인 증거는 지문이다. 1880년 영국 외과의사였던 헨리 포즈는 지문의 ...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모두 깜빡거리게 한다든지, 일시에 재난 문자를 보내는 등 대피명령을 신속하게 알리는 시스템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시마 섬 근처(발생원 2)에서 발생한 지진해일파의 예상 전파 모습이다. 1시간 30여 분이면 우리나라 동해안에 높이 3.0~5.0m의 지진해일이 들이닥친다. 이곳에서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을 받는 것이다.우주에 대한 신비가 줄어드는 만큼 모호하고 알 수 없는 훈련과 위험도 줄어들었다고 생각하니 과거 50년 동안 수많은 경험을 남겨준 선배 우주인들에게 감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도 그 과정은 계속돼, 미국과 유럽에서는 내가 우주인 훈련 중 가장 ...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수 있다. 종로와 서대문 인근에는 박물관이 많다. 이중 자연과 과학, 기술의 역사를 알 수 있는 곳을 선정해 박물관 탐사코스를 만들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국립서울과학관에서 시작하자. 현재 ‘동물의 신비’전이 열리고 있다.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에서는 근대기 서양의학의 ...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그의 엽서 컬렉션에서는 과거의 기상 기록뿐 아니라 우편물의 발전 과정도 한 눈에 알 수 있다.“직업과 관련된 취미를 가지면 서로 상승효과가 있습니다. 일과 관련해 더 많은 상식을 갖게 되고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어떤 식으로 발달했는지 공부하게 되죠.”전문가가 될수록 깊은 지식을 가질 수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