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11
과학자가 10명만
나
와 보세요. 이공계 기피요? 저절로 해결될 겁니다.”“다시 태어
나
도 과학자가 되겠냐”는 질문에 망설임 없이 “물론이죠. 역시 표면과학을 연구할 겁니다”라는 문 박사. 그에게 한국 과학계가 낳은 ‘표준맨’이라는 또다른 별칭을 선물해도 손색이 없지 않을까 ... ...
물 속에 빛을 가둬라
과학동아
l
200411
틈으로 물이 들어오면 수조 속의 빛이 컵 사이의 물까지 도달할 수 있어 전반사가 일어
나
지 않는다. 우리가 수조 위쪽에서 컵을 관찰해도 그림을 볼수있는 이유다.전반사는 빛이 물에서 공기처럼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전달될 때 발생한다.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광섬유는 전반사를 응용해 빛이 ... ...
인류, 79만년전 불 사용
과학동아
l
200411
발견됐기 때문에 당시 인류가 인위적으로 불을 피웠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
나
인간이 불을 사용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인 동굴 속에 보존된 화로는 대부분 25만년전 이후여서 인류가 79만년전에 불을 피웠다고 하기에는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11
그 누가 뭐라 해도 아무 말 없이 얌전히 있을 수밖에 없는 힘없는 벙어리를 닮았다.
나
의 뜻에 대항하고 반박할 수단을 잃어버린 벙어리는 경계할 필요가 없는 대상이기에, 긴장을 풀고 편안함을 느껴도 되는 존재다. 벙어리장갑은 말을 잃은 벙어리처럼, 우리에게서 손가락의 존재를 감춰버린다.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11
있다. 그 중 한 방법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이다. 이를 이용하면 의미있는 말이
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 부위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 전달과 같은 복잡한 활동에는 뇌의 특정 부분이 아닌 여러 부분이 관여하는데 성별에 따라 관여하는 부분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11
유전적인 후각장애를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
나
유전자 치료가 현실로
나
타
나
려면 아직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다.액설 교수는 미 존스홉킨스의대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벅 연구원은 텍사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엑설 교수는 1978년부터 컬럼비아 의대에서 교수로 있으며, 벅 ... ...
아프리카에서 겨울
나
는 붉은등때까치 국내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11
유럽과 시베리아에서 주로 번식하고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보내는 ‘붉은등때까치’ 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달 16일 전남 신안군의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인 홍도에서 때까치과인 붉은등때까치 새끼 한 마리를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붉은등때까치는 영어 이름인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11
나
타
나
기 때문. 학명이 ‘쑤기미’인 범치는 등지느러미에 맹독을 품고 있다가 화가
나
면 고슴도치처럼 등지느러미를 빳빳이 세워 가차없이 적을 찌른다. 사람도 범치에 찔리면 견딜 수 없이 아프다. 심한 경우 구급차까지 부른다. 솔잎을 넣고 달인 물에 찔린 부위를 담그면 효험이 있단다. 이렇듯 ... ...
왜 고막만 알아주는 거야? 귓속뼈
과학동아
l
200411
압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 올라가면 귀가 멍멍해진다. 이때 침을 삼키거
나
하품을 하면 코로 연결된 유스타키오관이 열리면서 대기압과 고막 안쪽의 압력이 같아져 귀가 멍멍한 것이 없어진다.히스타키오관(hystachian tube)은 실제로 없다.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과 자궁(hyster)의 영문을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덕분에 2003년 정부업무평가와 혁신평가에서 우수부처로 선정됐다.“남보다 한발 앞서
나
가는 것은 분명 고통스러운 작업이에요. 하지만 노력에 대한 결과는 반드시 돌아온다는 ‘평범한’ 진리를 늘 가슴에 새기고 있습니다.”이런 생각에서 최근 청소년들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일이 안타깝기만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