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광섬유 ㆍ스마트폰 여기 혹시 인터넷 안 써보신 분 있으신가요? 이곳은 인터넷을 통한 광통신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광통신은 오늘날 모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죠. 대한민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95%가 넘지만 아프리카의 경우엔 10%가 채 안된다고 해요. 같은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경찰에게 쫓기던 유병언 씨의 행적이 묘연해진 건 작년 5월 25일이었다. 5월 29일, 유 씨로 추정되는 인물이 CCTV에 찍혔다. 그리곤 두 달 가까이 소식이 끊겼다. 같은 해 7월 22일, 유 씨는 대중 앞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백골이 된 채였다. 경찰은 한 달 전인 6월 12일 야산에서 ... ...
- 내가 뭘 좋아할지 소프트웨어에게 물어 봐!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내 입맛에 맞는 콘텐츠를 권해주는 소프트웨어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이런 소프트웨어는 1990년대에 처음 등장했는데, 당시만 해도 단순히 가장 인기가 많은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방식이었다. 그런데 불과 20년 사이에 추천 알고리즘은 급성장했다. 이젠 개개인의 취향을 ‘저격’하는 소프트웨어의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30억 년 전, 지구가 아주 어렸을 때 이 땅의 모습은 어땠을까.과거의 지구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육지는 훨씬 적었고 대부분은 바다로 덮여 있었다. 눈에 보일 만한 생명체는 전혀 없었고, 약간의 미생물만이 물속에 존재했을 뿐이다. 그 중에서도 지금과 가장 다른 점은 대기에 산소가 없었다는 점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안녕? 내 이름은 토토라야. 아주 높은 산 호수에서 살고 있지. 내 꿈은 세상에서 가장 멋진 섬을 만드는 거야. 우리 부족은 대대로 섬을 만드는 데 일가견이 있거든. 내가 어른이 되면 세상에서 가장 멋진 섬을 만들어서 우리 마을 사람들과 행복하게 살 거야. 멋진 섬을 만드는 여행, 함께 가 볼래?1 ... ...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땀이 비오듯 쏟아집니다. ‘벌컥! 벌컥!’ 얼음물로 더운 속을 달래 보지만 영 시원치 않네요. 아! 평양냉면 한 그릇이 절실합니다. 시원한 육수와 함께 구수한 면발을 넘기다 보면, 온 몸에 딱 달라붙어 있던 더위와도 어느새 이별이죠. 수학공식 중에도 ‘확 풀어 주는’ 선수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최근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그림으로 사람의 성격을 알아보는 심리테스트가 유행했다. 그 중 하나가 한 발로 서서 빙글빙글 돌고 있는 소녀의 그림이었다.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인다면 우뇌가 발달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반대로 소녀가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으로 보이는 사 ... ...
- 내 손은 동물농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커다란 코끼리가 몸을 웅크리고 있어요. 멋진 상아를 보니 수코끼리네요. 자글자글한 피부 주름이 코끼리를 실제로 보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져요. 가만, 코끼리의 귀를 보세요! 진짜 코끼리가 아니라 그림이었어요! 대체 어떻게 코끼리의 주름까지 생생하게 묘사한 것일까요? 몰라도, 알아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내 이름은 로마네스코 브로콜리! 나를 본 사람들은 모두 내 외모에 반하고 말지! 어때? 나 정말 아름답게 생기지 않았니? 호호~! 배추, 양파, 토마토, 파, 마늘, 호박… 등 많은 채소들이 있지만 사람들은 나처럼 화려하고 예쁜 채소를 가장 좋아한다고~. 잠깐! 아까부터 커다란 양배추 녀석이 계속 내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짜 아끼던 컵 손잡이가 깨졌을 때, 지갑이 찢어졌을 때, 우린 모두 ‘이것’을 찾는다. ‘이것’만 있으면 감쪽같이 원래대로 물건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플라스틱을 연구하던 화학자로부터 우연히 탄생하게 된다.‘대체 이게 무슨 일이지?’열이나 압력을 주지 않았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