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d라이브러리
"
마지막
"(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두고 봐야 할 것이다.남한에서의 기록은 종전에 1921년 경주 대덕산에서 숫놈 1두가
마지막
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조선총독부 통계연보는 1936년 경북과 충청도에서 가축이 4두, 1937년 전북에서 사람이 2명, 1942년에 경남에서 가축 1두가 각각 호랑이에게 피해를 당한 것으로 기록돼 있어 적어도 그 ... ...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빠져 나온다. 눈을 빠져 나온 카메라는 엑스포장 상공을 거쳐 한반도를 조명하고
마지막
으로는 지구의 모습을 비춰준다.자연생명관의 포스트쇼 주제는 '바이오토피아의 세계를 통해 보는 인류의 미래상'.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조조경터널을 지나면 생명공학에 기여한 멘델 파스퇴르 다윈 왓슨 ... ...
소백산천문대 관측계기로 살펴본 초신성폭발의 의미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있다.질량이 태양보다 30배 이상 무거운 별들은 아주 짧은 수명(1천만년 정도)을 가지지만
마지막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는 엄청난 힘으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빛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을 만든다. 우리가 블랙홀을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지만 백조자리 근처에는 강력한 블랙홀이 도사리고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몸의 일부로 유전하는 것이 아닐까. 참으로 중요한 문제다. 실제로 생체시계의
마지막
연구는 생체개일리듬의 유전자를 발견하는 것이다. 바다달팽이나 초파리를 재료로 하여 생물학자들은 열심히 연구하고 있다. 초파리의 돌연변이종으로 그 개일리듬의 주기가 19시간으로 정상에 비해 더 짧거나 2 ... ...
화학- 같은 원자끼리의 결합 어떻게 가능하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개의 전자가 있을 경우 안정한 상태가 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즉 원자가 미완성 상태인
마지막
껍질의 전자를 하나씩 내어놓아 서로 공유함으로써 두 원자 모두 네온이나 아르곤과 같은 전자배치를 갖는다는 생각이다.이제 여러 분자의 신기한 모양과 성질에 대해서 살펴보자.물분자의 춤솜씨물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김나지움이 아인슈타인에게 준 좋은 영향에 대해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학교 생활
마지막
1년 반 동안 받았던 요스트 크리스트저 '자연과학의 기초'에 의한 강의는 물리학을 수학의 일부분이 아니라 독립된 실험 과목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진취적인 교과과정이었다. 또 학교장이었던 수학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중에서 1024kB, 즉 1mb 만큼을 확장메모리로 에뮬레이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마지막
네개의 행에 DEVEICEHIGH 명령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4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기본메모리가 아닌 상위메모리블록(UMB)에 올려놓음으로써 그만큼의 기본메모리가 절약된 것이다. 여기에 DOS=HIGH,UMB를 ... ...
화학- 이온과 전기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
마지막
껍질의 전자는 잃어버리기 쉽다. 비금속원자는
마지막
껍질의 전자가 5~7개로
마지막
전자껍질을 완성하기 위해 다른 원자로부터 전자를 받아들인다.결국 금속원자와 비금속원자가 만나면 금속원자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고 비금속원자는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며 양이온과 음이온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독야청청하는 금성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명왕성 층톰보가 발견한 태양계
마지막
행성 명왕성이 이달 18일에 충이 된다.밝기가 14등급 정도이므로 12인치 이상의 구경이 필요하고, 사진을 찍어도 이것의 존재를 확인하려면 사진 성도가 있어야 한다. 명왕성의 궤도는 해왕성의 궤도를 침범하고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이중(물 속의 물)인데, 이도 역시 우리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장면은 은하로의 상상여행. 우리 은하 속의 별 하나 하나는 인간이 만들어낸 창조물로 변하고, 이것이 다시 인간의 뇌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이른바 '브레인 갤럭시'가 탄생하는 순간이다. 메인쇼는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