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카린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수 없는 물질’을 뜻하는 ‘3군’으로 분류를 변경했다. 미국 FDA도 사카린에 대한 거의 모든 규제를 폐지했다. 한국 식약처가 이번에 사카린의 사용 범위를 크게 확대한 것도 유해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더 이상 찾을 수 없다는 게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 겨울철 즐겨먹는 간식인 ‘호떡’과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특별한 수업도 있다. 정규 학기에 교수 10여명이 힘을 합쳐 한 과목을 만드는 수업이다. 모든 교수가 매 수업 시간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매 시간 전공이 다른 교수가 번갈아 들어와 가르치는 수업형태와는 다르다. 교수들은 자신의 전공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며, 때로는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말했다. 지질학과 물리학은 달라도 너무나 다르지 않느냐는 우문에 이 교수는 “모든 과학의 분야는 한 곳에 모인다”는 현답으로 응했다. 이정모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은 과학계의 마당발이자 과학 예찬론자다. 주변에 사람을 모으는 재주로 이번 발굴팀의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몸을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영향으로 초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0과 1로만 쓰여졌다. 그러나 0과 1만으로는 컴퓨터의 모든 동작을 명령하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특정 명령어를 단어에 대응시켜 사람이 알기 쉽도록 코드화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초기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더하기’ 대신 ‘1111’을 사용했지만, 변화를 거쳐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이번에 임상시험까지 하게 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년 09호
- 6년에 걸쳐 직접 바닷속으로 들어가 해조류, 물고기, 서식지, 수중 지형 등을 확인한 모든 것을 전문 작가가 다시 일러스트로 그린 것이다. 사진보다 오히려 독도의 지형과 물고기들이 한눈에 들어와 마치 독도 수족관에 들어온 것 같다.“독도는 한국의 갈라파고스”생태지도 제작 책임자인 명정구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문제지요. 폴터가이스트의 원인을 놓고 돈을 걸라면 절대 귀신에게 걸지는 않을 겁니다. 모든 가능성에 마음을 열 수는 있지만, 귀신의 소행이 아닐 확률이 압도적으로 높거든요.에디슨의 비밀 실험?다음으로는 토머스 에디슨의 일화를 언급했습니다. 에디슨이 귀신 탐지기를 만들어서 실험한 적이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재사용이다. 인간이 거주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화성에서는 산소, 물, 식량과 같이 필요한 모든 자원을 재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우리의 기술만으로 화성 전체라는 넓은 지역 전체를 통제할 수는 없다. 먼저 우리가 거주하는 곳부터 시작하는 게 순서다. 바이오돔 안에서 우리는 완벽한 재활용, ... ...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고무줄 밴드를 이 압정들에 걸어 보면서, 하나씩 알파벳 글자를 만들었다. 하나의 밴드가 모든 바퀴의 곡면을 감아돌도록 하면서, 알파벳 글자를 만드는 퍼즐을 개발한 것이다.이 서체들은 모두 암호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체는 검정색 밴드를 생략하면 글자를 숨길 수 있다.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풀리지 않는 어려운 문제였다. 바로 그때 혜성처럼 등장한 아빌라 교수가 동역학계의 모든 점의 자취가 특정한 위치로 수렴하거나 무작위로 퍼진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한편, 오스트리아 출신의 첫 번째 필즈상 수상자인 마틴 헤어러 교수는 아버지에 이어 2대째 수학을 공부하고 있는 수학자다.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