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4단 변신 로봇 포인원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다닌다.또 곤충으로 변신해 다리 6개로 기어 다니기도 한다.심지어 오랑우탄처럼
줄
을 탈
줄
도 안다.크기는 작아도 얕잡아 보면 안 된다. 사람이 눈과 귀로 정보를 수집하고 뇌에서 판단해 팔다리를 움직이듯이 포인원도 소리 센서로 소리를 감지하고 복잡한 전자회로를 이용해 팔다리를 움직이도록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수밖에 없었다. 경석의 한 쪽 끝을 완전히 갈지 않아 먹
줄
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먹
줄
의 남은 부분을 모두 갈고 다시 연주하자 그때서야 음이 정확히 들어맞았다. 세종대왕은 미묘한 음의 차이까지 구분해낼 수 있는 절대음감의 소유자였던 셈이다.12율 음정 정하는 삼분손익법편경은 경석을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디지털 소자연구’로 이름 붙일 수 있는 박 교수의 현재 연구는 일반인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을까. 전자는 빛의 100분의 1정도 속도로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 교수의 연구를 통해 전자 대신 빛을 쓰면 이론적으로 현재보다 컴퓨터 처리속도를 100배 높일 수 있다.이런 기술이 실용화되면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움직임이나 공격 방식을 표현하는 ‘스프라이트 툴’도 필요한 저장 용량을 크게
줄
인다. 스프라이트 툴은 한정된 그림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해 다양한 동작을 표현하는 도구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달리거나 움직이는 모습, 전투장면을 각각 애니메이션 같은 동영상 파일로 만들면 용량을 많이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로버트 윌슨이 우연히 발견한 이 빛은 우주의 탄생과 구조에 대한 의문을 풀어
줄
실마리로 주목받았다. 그 뒤 우주배경복사를 온 하늘에서 관측해 그 온도차가 얼마나 나는지가 과학자들의 관심거리였다. 우주배경복사가 방출될 당시의 온도가 완벽하게 같다면 모든 입자가 우주에 균등하게 ... ...
[환경학]기후 변화가 빈곤한 ‘바다 밥상’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같은 1차 소비자를 부실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엔 먹이 사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물벼룩을 잡아먹은 작은 물고기,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은 큰 물고기가 모두 부실 체질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을 섭취하는 사람도 충분한 영양을 얻지 못한다.연구진은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입증한 후 과학자들은 신경전달물질이 마음의 비밀을 풀어
줄
열쇠라고 생각했다. 특히 몇몇 정신질환자들에게서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되는 현상이 관찰됨에 따라 과학자들은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사람의 성격이나 취향, 감정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 ...
[진기명기] 달콤한 내 마음을 담아 슈가 크래프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크래프터그래, 바로 이거야! 선생님 말씀을 듣고 보니, 슈가 크래프트는 소중한 친구에게
줄
특별한 선물로 안성맞춤! 우리는 설레는 마음으로 슈가 크래프트에 도전하기로 했어.달콤한 향기의 정체똑똑~, 노크를 하고 안으로 들어가니 한 아주머니가 조물조물 뭔가를 만들고 계셨어. 그 분이 슈가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기원이 되는 내공생이 왜 긴 지구 역사상 한 번만 일어났는가를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어떤 이유에서인지 엽록체가 광합성을 하는 능력을 상실해 다시 종속영양체로 돌아간 경우도 있다. 섬모류나 첨복포자충 등 상당수의 원생생물은 세포내 엽록체가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날아가는 이유는 ‘필이 꽂힌’ 냄새가 있기 때문이다? 냄새를 구분하는 비밀을 풀어
줄
열쇠가 나방에서 나왔다.미국 애리조나대의 제프리 리펠 박사는 미국 남동부 지방에 사는 담배박각시나방(Manduca sexta)의 뇌가 화밀(꽃꿀)에서 나오는 수백 개의 화학물질 중에서 몇 개로 구성된 특정 조합에만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