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악수 한 번도 안하는 방법과학동아 l2005년 12호
- 모여야 한다.이 사실을 기호로 R(3, 3)=6으로 나타내고,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 경제학자였던 프랭크 플럼턴 램지의 이름을 따 ‘램지 수’라고 부른다. 만약 서로 악수한 4명이 존재하거나, 서로 한 번도 악수하지 않은 4명이 존재하려면 적어도 18명이 필요하다. 즉 R(4, 4)=18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 ...
-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과학동아 l2005년 11호
- 태양계 외곽의 암석과 얼음으로 이뤄진 ‘카이퍼 벨트’(Kuiper Belt)의 일부라고 믿는 학자들은 위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행성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수성과 금성은 위성이 없지만 일부 소행성들은 그 주위를 도는 작은 암석을 갖고 있다. 브라운 교수도 “제나의 위성 발견을 ...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과학동아 l2005년 11호
- 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학자 · 물리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의한 체적팽창의 법칙을 발견하고 이른바 샤를의 법칙〈제1법칙〉을 실험적으로 확립하였다(1801년) 토리첼리의 진공 속에서 일정량의 액체를 증발시켜, 그 증기의 부피 · 압력 · ...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사는 외계행성이 우리 손으로 발견될 날이 머지 않아 보인다.하와이 한국인 천문학자 3인방 - 김삼,표태수,송인석표태수 박사와 송인석 박사는 서울대 85학번 동기이다. 표 박사는 천문학과 출신이고 송박사는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했다. 두 사람은 현재 하와이 마우나케아에서 거대망원경으로 ...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있는 물은 갈색을 띠어 식물의 색과 선명하게 대조된다.이곳에서 빙하를 연구하던 지질학자 아버는 연에 디지털카메라를 매단 뒤 땅에서부터 50~150m로 띄워 올려 촬영에 성공했다. 비행기보다는 낮고 고층빌딩보다는 높은 중간 높이라 이렇게 독특한 색깔, 질감,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과학동아 l2005년 11호
- 현장에 비유될 수 있겠다.이제 인류의 진화와 개인의 일생에 비유될 수 있는 7명의 천문학자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들은 모두 한국에서 나고 자라서 세계 최첨단 현장에서 뛰고 있는 한국 대표주자들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과학동아 l2005년 11호
- 하나만 만들면 되겠다 싶었다.이갑신이라는 단짝 친구는 사업을 하고 윤 교수는 과학자가 되자고 약속했다. 약속대로 그는 캘리포니아공대에 입학해서도 물리를 전공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과학동아 l2005년 11호
- 를 지원받았다. 당시 이 소식이 언론에 잠시 소개됐을 뿐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다.하지만 미국 관련 학계에서는 ‘전설의 인물’로 통한다. 1991년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메릴랜드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는데 1995년 2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직함이 ... ...
- 천문학자 울린 샛별과학동아 l2005년 11호
- 계산대로라면 가장 좋은 장소는 필리핀 마닐라였다. 그러나 르장티는 유럽의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인도의 퐁디셰리에서 관측을 할 것이라고 공언하고 떠나온 사실을 상기했다. 막판에 장소를 바꾸기도 탐탁지 않아 르장티는 계획대로 퐁디셰리에서 관측할 준비를 했다. 퐁디셰리 또한 마닐라만큼은 ... ...
- 점이 뚱뚱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이들 가운데는 수학과 관계가 없는 사람도 많은데, 한 예로 이 분야에 크게 공헌한 언어학자 미하엘 시사우를 들 수 있다.n×n으로 배열된 점을 한글 자음 ‘ㄹ’ 모양으로 (2n-1)개의 직선을 연결한 것을 ‘자명한 해’라고 하자. 지금까지 얻은 결과에 따르면 'ㄹ' 모양을 만드는데 필요한 직선의 최소 ... ...
이전3743753763773783793803813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