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10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공대 카페’ 현장을 방송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입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은 분은
아래
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ience.dongascience.com/postcard/board-view?board_idx=189&subMenu=5&page=1&search_type=&search_keyword=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 ...
피타고라스의 정리? 그림 한 장이면 OK!
수학동아
l
2013.12.17
증명이 아니더라도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방법은 바로 ‘그림’이다.
아래
왼쪽 그림은 영국의 증권 중개인이자 아마추어 수학자인 헨리 페리갈의 그림이다. 페리갈은 두 개의 작은 정사각형을 이루는 퍼즐 조각 5개로 큰 정사각형을 만들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정사각형의 ... ...
콧대높은 그들, 삼성과 디지털시대 ‘활짝’ 열다
동아일보
l
2013.12.16
요즘도 99.9%의 매진율을 보이는 빈의 자랑이다. ‘매 공연은 완벽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방송국 생중계도 거부할 정도로 전통을 고수해오던 ‘콧대 높은’ 빈 오페라하우스가 최근 삼성전자와 손을 잡고 디지털 콘텐츠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154년 역사상 처음으로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와 ... ...
"서울의 미세 먼지, 우리 눈 피할 수 없을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1m)보다 큰 먼지는 분립관에 그대로 남고, 이보다 크기가 작은 '진짜' 미세먼지만 분립관
아래
로 내려가 분석 장비 안에 있는 필터에 쌓인다. 분석 장비는 미세먼지가 쌓인 필터에 방사선의 일종인 베타선을 비춘 뒤 ‘흡수율’을 계산해 1m3당 미세먼지 농도를 파악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 ...
혜성, 불행과 변화의 상징?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독자들에게 공개했다. 그 사진들로 천체 사진집을 준비중이라고 하니 무척 기대가 된다.
아래
두 장의 사진은 지금 밤하늘에서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러브조이 혜성을 찍은 것들이다. 지평선 가까이 별들이 반짝이는 몽골초원에서 분주히 움직이며 밤하늘을 카메라에 담고 있는 사람들의 머리 위로 ... ...
낡은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소리보다 이런 진동에 민감하다. 연구진은 소음을 유발하는 위층 바닥이 아닌,
아래
층 천장에 주목했다. 대부분의 건물은 천장 마감재와 바닥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있는데, 여기에 ‘메타 물질’로 만든 흡음재를 넣어 저주파 소음을 상쇄시킨다는 것이 핵심 아이디어다. 메타물질은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빨간 모자’ 페로 버전(Perrault)과 그림 형제 버전(Grimm)이 오른쪽
아래
에 보인다. 왼쪽
아래
에는 우리나라의 ‘해님달님’(TG12)과 ‘해순이달순이별순이’(TG13)이 위치한다. - 플로스원 제공 사실 이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민속학자 사이에 의견이 분분했는데, 한 학설은 동아시아 민담이 ... ...
바다 속 '이것' 미래 인류의 젖줄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제공 빈센트 포스트 호주 국립지하수연구&훈련센터 박사는 “점토와 같은 침전물
아래
에 저염도의 대륙붕 지하수가 약 50만㎦ 존재한다”며 “이는 1900년대 이래 대륙에서 지표수·지하수 등으로 추출한 총량보다 100배 많은 양"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2만 년 전 빙하가 녹기 시작할 때 전 ... ...
뒤집어 끼워도 작동하는 USB 나온다
동아일보
l
2013.12.06
다른 단자들도 쓰이고 있다. 새로운 USB C형 단자는 애플사의 ‘라이트닝 케이블’처럼 위
아래
방향 구분 없이 플러그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이 단자는 최신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마이크로B형 단자와 비슷한 작은 크기이면서도 데이터 전송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IT매체 ... ...
초고속 光컴퓨터? ‘나노레이저’가 해답
동아사이언스
l
2013.12.03
나노레이저가 나오는 4.6×0.61×0.28μm (마이크로미터·1μm=10만 분의 1m) 크기의 나노빔
아래
수십~수백nm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너비의 미세기둥을 배열함으로써 나노레이저에 전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미세기둥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1 ... ...
이전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