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눈의 여왕’ 제작진에게 수학 자문을 요청받았다. 한국 드라마에서 자연과학이나
공학
을 부정확하게 묘사하는 장면이 나오면 눈에 가시처럼 걸렸던 터라 흔쾌히 자문에 응했다. 여기에 주인공을 수학 천재로 만들기 위한 뒷얘기와 드라마에서 소상히 밝히지 못한 수학 문제의 해답을 풀어놓는다 ... ...
대머리 해법은 목 뒤쪽 모낭세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명
공학
회사 ‘인터사이텍스’(Intercytex)가 사람의 목 뒤쪽에 있는 모낭세포를 채취해 배양한 뒤 이를 다시 머리에 심는데 성공했다고 영국 BBC뉴스 온라인판 10월 6일자가 보도했다.이 회사는 남성형 대머리를 갖는 7명을 대상으로 시술했는데, 이 가운데 5명에게서 머리카락이 자라났다. 일반적으로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지난해 9월 7일 미국 생명
공학
기업인 ‘시르나’(Sirna)는 생명
공학
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했다. 미국 식약청(FDA)에 퇴행성 각막질환(황반변성) 치료용 신약의 임상시험 허가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신약을 상용화하면 임상시험은 당연히 거쳐야 할 과정인데, 왜 시르나의 ... ...
태권V 가볍고 튼튼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입는 옷처럼 재료를 너무나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소재 기술은 기계나 전자
공학
과처럼 한눈에 드러나는 기술이 아니지만 우리 생활에서부터 최첨단 반도체와 국방기술에 이르는 모든 곳을 지배하는 중요한 분야이다. 따라서 신소재 기술은 한 나라의 산업과 국방기술의 가장 핵심이라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했다. 물론 부모님의 반대가 심했다. 집착, 몰두, 방황 끝에 타협한 곳이 바로 서울대 건축
공학
과다. 하지만 유신독재 시절이던 그의 대학 생활은 암울한 회색빛일 뿐이었다. 삶을 변화시키는 건축대학을 졸업하면서 그의 인생은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대한민국 대표 건축가라 불리는 고 김수근 ... ...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있을 뿐이다.저자는 “스승의 전공은 고에너지 소립자물리학”이라며 “핵무기 개발은
공학
적인 문제이지 과학적인 문제가 아니다”고 일갈한다. 핵무기 설계도는 1970년대 미국 학부생의 졸업논문에 실릴 정도로 공개된 정보라고 설명했다. 만약 핵무기를 개발하려 했다면 핵무기의 원료인 ‘농축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물질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크세논(Xe)과 크립톤(Kr)으로 추측된다. 한양대 원자력
공학
과 이재기 교수는 “크세논과 크립톤은 핵분열할 때 많이 나오는 불활성기체로 특수 제작된 탄소필터로 걸러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크세논과 크립톤은 인공적으로 원자가 깨지면서 생기기 ... ...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방문하는 탐방단의 일정은 먼저 독일에서 시작됐다. 최근 생태학이나 도시
공학
등 환경 관련 분야에서는 무조건적인 개발 제한보다는 환경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수 있는‘지속가능한 개발’로 환경보존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추세다. 독일과 스페인, 이탈리아 현지의 환경지킴이들이 이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마침 잘 오셨네요. 제가 문제를 해결해 드리죠.”무향풍동실에서 만난 사람은 항공우주
공학
과 이덕주 교수였다. 그는 소음제어를 연구하는 과학자로 일명 ‘사운드마스터’(Sound master)로 불린다.“일단 풍동실로 들어오시죠. 먼저 소음에 대해 알려 드릴게요.”무향풍동실은 바람을 일정한 속도로 ... ...
원하는 생물체 설계하는 바이오캐드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영향이 있을지 파악해 전략을 세울 수 있다.연구실에서 설계도를 만들면 KAIST 생명화학
공학
과 이상엽 교수는 이 설계도를 사용해 유전자가 변형된 미생물을 만든다. 앞으로 미생물보다 더 복잡한 생물의 설계도를 그려낼 예정이다.생물, 전자, 기계, 컴퓨터가 융합된 퓨전생물학연구팀은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