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설령 충치예방에 도움이 된다 할지라도 수돗물에 불소를 투입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반대
론자들의 입장이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가장 중요한 것이 없다.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질환을 예방하는 것과 체력을 증강하는 두가지 노력이 있을 수 있다. 예방접종이 전자라면 ... ...
밤하늘의 방랑자 혜성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머리를 흩날리듯 발생하며, 이온꼬리는 혜성의 진행 방향에 관계없이 태양을 바라보는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게 된다. 보통 이온꼬리는 푸른색을 띠며 먼지꼬리는 노란색 또는 약한 붉은색으로 보인다. 다시 찾아오는 혜성1년 동안 나타나는 혜성들 중에는 지구를 처음 방문하는 것도 있지만 예전에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변한다. 한편 차가운 공기가 남하하면서 산악을 지나갈 때는 평지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반대
쪽 산비탈의 따뜻한 공기위로 파고들어 이곳에 강한 소나기구름들이 생겨나 집중호우의 원인이 된다.기상레이더로 폭우 관측높은 하늘에서 지구를 내려다보며 찍은 기상위성의 구름사진은 아시아 전역의 ... ...
PartⅢ. ①원하는 대로 변신하는 제2의 나, 애버타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변하지 않으므로, 결국 현실에 대한 적응력만 쇠퇴시킬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그러나
반대
로 자아나 성을 의식적으로 뒤바꾸는 행위가, 사회에 의해 강제돼온 주체의 껍질을 깨는 해방적 성격이 있음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 인간의 주체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서 구성되는 ... ...
1. 주도세력 없는 공백기의 게릴라성 호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유지하는 현상이다. 반면 라니냐는 태평양의 해수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엘니뇨와
반대
의 현상이다.평년 같으면 열대성 강우의 중심지가 인도네시아 근방으로 한정되고, 동아시아지역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발달해 한여름 날씨가 된다.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은 북쪽의 찬 기단을 계속 밀어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공중에 떠있을 때는 허리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지하기 위해 팔을 다리와
반대
방향으로 흔들어야 한다.시뮬레이션 기법은 가상 인간의 움직임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우선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초당 5m를 달리던 가상 인간을 4m로 달리는 형태로 바꾸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 ...
달리는 자전거는 쓰러지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핸들을 돌리면 자전거는 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회전하는 자전거는 기울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원심력을 받는다. 이 원심력에 의해 자전거는 다시 똑바로 설 수 있게 된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물체는 원심력(원심력은 회전 반지름에 반비례하고 회전하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을 받는다. ... ...
1. 음악치료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환경을 경험하게 했다. 예를 들어 악기를 고정시키고 노랫말을 조금씩 바꾼다든지,
반대
로 노랫말은 변화시키지 않고 악기를 조심스럽게 바꿔나가는 방식이었다.음악과 악기의 변화는 그때그때 아이의 능력에 따라 맞추어 나갔고, 최근에는 아무런 예상과 준비 없이 이루어지는 ‘즉흥연주’ ... ...
건강 파수꾼 침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하지만 보조적으로 소독약을 넣은 인공침으로 구강 점막을 자주 적셔주는 방법도 있다.
반대
로 침이 많아지는 경우도 있다. 돌이 되기 전의 유아들이 침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유아들이 분비된 침을 전부 삼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떤 아이들은 이가 날 때 침 분비가 많아져 ... ...
여름 설사 유산균 섭취가 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먹으면 몸에 해로운 균의 양이 급속히 늘어 설사를 비롯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다.
반대
로 유산균과 같은 이로운 미생물이 많아지면 장에 좀처럼 탈이 나지 않는다. 평소 유산균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섭취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유산균이란 우유에 존재하는 유당을 분해시켜 유산(젖산)을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