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물학과 교수팀은 영양학(nutrition)상을 받았다. 인간 속성에 대한 연구 다수 선정우리 자신이 인간이지만, 스스로도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알 수 없을 때가 많아서일까. 인간의 속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올해 수상자 목록에 올랐다. 치즈를 싫어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투명하고 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그리고 고효율 태양전지. ‘차세대 전자기술 삼총사’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술이 있다. 투명하고 잘 휘어지는 전극이다. 이윤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이동화 박사과정 연구원과 함께 차세대 전극 개발 방식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도시 n개를 단 한 번만 방문하고 출발점으로 돌아 오려고 한다.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 사이의 거리가 모두 정해져 있을 때 최소 비용이 드는 이동 ... 우리 생활에는 쓸모 없겠지만, 이 알고리듬 덕분에 나중에 탄생한 새로운 알고리듬이 우리 삶을 매우 편리하게 바꿔줄 수도 있습니다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타일 뭉치는 모두 같은 색으로 보였을 겁니다. 비슷해 보이지만 분명히 다른 색인데도 우리 눈이 구분하지 못한 거지요. 다시 말하면, 눈이 구분하지 못하는 만큼만 색을 바꾸면 대부분은 바꿨는지조차 알 수 없습니다. 자,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제 컴퓨터에 저장된 사진파일은 대부분 ...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길이를 줄이는 일도 가능하다”며, “우리의 최종 목표 중 하나는 트랜스포머처럼 변신할 수 있는 로봇 모양을 설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가볍게, 튼튼하게, 유연하게 기하학으로 만드는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것이다. 우연히 그날 손 대표의 아이도 응급실에 갔다. “체온이 39℃까지 올랐던 우리 아이도 너무 아파해서 제가 눈물이 날 정도였는데, 버스에 갇혀 있던 아이는 42℃까지 올랐어요. 애들이 다 내렸는지 어른이 봐주기만 했어도 그런 일은 안 생겼을 거예요. 법을 지키고 있지 않으니 ... ...
- 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해도 미세 플라스틱이?!집에서 생기는 2차 미세 플라스틱도 있어요. 바로 옷이에요!우리가 입는 옷은 대부분 합성섬유로 만들어졌어요. ‘폴리에스터’와 ‘아크릴’ 등 합성섬유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플라스틱과 같은 성분이에요.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옷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면, 아주 작은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같은 가소제랍니다.가소제 중에서도 프탈레이트는 대표적인 발암물질이에요. 우리 몸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인 내분비계에 나쁜 영향을 미쳐요.이렇게 독성이 강해진 미세 플라스틱은 동물의 위 속에 들어간 뒤 머금었던 독성 물질을 내뿜어요. 그 결과 나쁜 성분들이 몸으로 흡수되어 건강을 ...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전달하는 물질이 없어서 통증을 느끼지 못해요.어때요? 우리 정말 특별한 동물이죠? 우리를 연구하면 질병을 예방하고 오래 사는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저는 이만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갈게요. 안녕 ... ...
- Part 2. 시금치, 두근두근 심장 조직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장기나 과학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낸 장기를 ‘인공 장기’라고 해요. 병이나 사고로 우리 몸의 심장, 간, 신장 등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이를 인공 장기로 바꿀 수 있지요. 아직까지 신체 장기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인공 장기 연구는 계속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하지만 성능 좋은 ... ...
이전3753763773783793803813823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