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이기적이라 자신과 똑같은 유전자를 더 많이 남기고자 한다. (…중략…) 다윈의 진화론
이후
지금까지도 집단 선택론과 유전자 선택론은 각축을 벌이고 있다. 집단 선택론과 유전자 선택론은 겉으로 보면 마치 검은 돌과 흰 돌과 같이 완전히 다르게 느껴지지만 유사한 점도 많다. 그러나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본다. 하지만 그 짧은 사이에 인플라톤의 영향으로 공간은 1025배로 팽창했다. 공간은
이후
로도 지속적으로 팽창했고, 초기의 초고온 상태를 벗어나 차갑게 식어버렸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이론에 따르면, 우주가 아직 작을 때는 온도 등의 정보를 모든 곳과 서로 충분히 교환할 수 있었다. 그래서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출력과 발사 과정을 안정화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후
에도 실제로 상업 핵융합 발전을 하려면 수십 년 이상이 걸릴 것이다. 펨토초 레이저로 인공태양 고속 점화 한다이번 실험에 사용한 레이저는 에너지가 너무 높다.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 같은 방식으로 레이저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러나 미분과 적분의 수학적인 관계는 17세기에 정리됐고, 그
이후
함수를 분석하는 다양한 분야로 활용됐다.분류와 논리성의 기초, 집합집합에 관한 이론은 1895년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에 의해 만들어졌다. 원소의 개수가 무한히 많을 때 두 집합을 비교하는 방법을 찾는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것은 우주 초기의 중력파다. 빛을 이용해 관측이 가능한 시간적 한계는 빅뱅
이후
38만 년
이후
부터다. 이 경계를 “최후산란면”이라고 하며, 그 이전은 오직 중력이 시공간에 미친 요동인 ‘중력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이형목 교수는 “주기적 다중우주설에서는 빅뱅 직후 중력파가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산소 농도가 짙었던 시기를 비교하면 둘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고생대
이후
사라졌던 거대 하루살이도 백악기에 다시 나타났지요. 중생대 중기에서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저 역시 산소 농도가 짙었던 시기에 살았습니다.여기서 또 하나의 연결고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궤도에 진입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억눌려 왔던 배우고 가르치고자 하는 열망이 광복
이후
15년 뒤에야 대학 수준에서 이뤄진 것이다. 마지막으로 200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윤세원 박사가 후배들에게 당부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앞으로 우리나라 물리학의 수준으로 본다면 내 ... ...
언터처블 : 5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보인다. 하지만 플라톤이 살던 시대만 해도 이 우주론은 굉장히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이후
사람들의 우주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제3코스 황금비를 품은 펜타그램과 정오각형오각형은 영어로 ‘pentagon(펜타곤)’이라고 한다. 그런데 미국 버지니아주에 있는 국방부의 건물이 오각형이라서 미국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무서워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흔히 광견병을 ‘공수병’이라고도 부른다.
이후
혼수상태에 빠지고 숨을 쉬는데 필요한 근육이 마비되면서 사망한다.최신기술과 프라이버시의 충돌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구글이 ‘스트리트 뷰’ 서비스를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한 문제에 대해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누구이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질문은 진화론의 역사와 함께합니다. 다윈이 제기한
이후
200년이 넘게 끊임없이 탐구된 주제입니다. 논쟁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지금, 최초 인류의 모습은 다시 한번 충격적으로 바뀔지 모릅니다 ... ...
이전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