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꿈틀거리는 우주의 집게발
과학동아
l
200211
송나라 문헌에 등장하는 ‘손님별’(객성)로 밝혀졌다. 이 문헌에는 1054년 거의 보름달
밝기
의 새로운 별(손님별)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또 미국 북부 애리조나의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동굴 벽화에 밝은 별을 초승달과 함께 그려 넣었는데, 연구 결과 이 별도 1054년의 손님별로 확인됐다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10
천왕성의
밝기
가 바로 6등급이기 때문이다. 물론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어두운
밝기
인 탓에 맨눈으로 천왕성 찾기는 쉽지 않다.이제 도전해보자. 천왕성을 볼 수 있을까.염소자리 동쪽 끝 밝은 별10월에 보이는 천왕성은 정확히 5.8등급이다. 그러므로 별이 많이 보이는 곳에 가면 당연히 맨눈에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10
밝기
가 변하는 폭은 약 1등급(252배) 정도이고 주기와 관계없이 태양의 약 50배의 평균
밝기
를 가진다 주기가 01~1초인 파로서 중력이 그 복원력(復元力)인 것 세파(細波)는 주기가 01초 이하이고 표면장력이 복원력이지만 단주기중력파는 그보다 주기가 약간 길고 수면상의 바람에 의해 생긴다공전주기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09
속하는 불규칙 변광성 변광을 반복하다가 때때로 일정 광도가 되어 상당히 오랫동안 그
밝기
를 유지하는 쌍동이자리 U형 변광성이다대표적인 별인 기린자리의 Z형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현재 20개가 알려져 있다 장시간 서 있거나 운동 후에 나오는 단백뇨 체력이 허약한 아동에게서 볼 수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08
것을 0으로 하고 마을에 피해를 주는 풍력을 10으로 한다표면온도가 4만~10만K인 청백색 별
밝기
는 태양의 1/1000~10배다 평균 크기가 지구만큼 작지만 별을 이루고 있는 구성물질이 압축돼 있어 평균 밀도는 상당히 높다 별의 일생에서 마지막 단계에 백색왜성이 되므로 별의 성장과 진화를 연구하는데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08
텍사스주 크기의 소행성이 충돌 18일 거리까지 접근했다면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밝기
가 된다. 이런 천체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은 영화를 극적으로 만들기 위한 거짓말이다.게다가 댄 트루먼은 문제의 소행성을 찾기 위해 허블망원경을 움직이라고 지시한다. 그러나 은하계 밖의 천체를 관측할 ... ...
8월 한여름밤 별똥별 쇼 감상법
과학동아
l
200208
주위 별들과 비교해 가늠할 수 있다. 평상시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경우 유성의 평균
밝기
가 대략 2등급 가량이며, 색상은 백색과 청백색 계통을 보여 왔다. 유성이 밤하늘에 흔적(유성흔)을 남길 확률은 대략 40% 정도였다. 사진에는 한두개만 찍혀유성을 바라보다 보면 저 모습을 사진에 찍어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08
어두워진다. 물론 어두워지는 정도는 무척 작지만, 지금은 관측장비의 발달로 그 정도의
밝기
변화는 충분히 찾아낼 수 있게 됐다. 그런데 이 방법은 행성이 지구에서 볼 때 별과 나란한 방향에 있어야만 적용될 수 있다. 그래야만 행성이 별을 가리는 현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예상 외로 특별한 곳이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곳에 사용된다.
밝기
가 그리 밝지 않은 저휘도 LED는 컴퓨터, 모니터 등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표시에 쓰이며, 자동차 내부의 속도계나 디지털 숫자를 나타내는 표시기에도 쓰이고 있다. 또한 지하철이나 약국, 병원, 공항 등의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별’ 얘기가 아니다. 믿기 힘들겠지만 금성은 대낮에도 볼 수 있다. 금성이 그만큼
밝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나라 옛 역사서에도 금성을 낮에 관측했다는 내용인 태백주현(太白晝見)의 기록이 여러번 나온다. 지금부터 금성을 대낮에 보는 방법을 알아보자.물론 금성이 보인다 하더라도 대낮에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