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3
받으면 빙글빙글 돌게 된답니다. 분자를 한 방향으로만 돌아가게 만들었다는 점이 가장
큰
의의라고 해요. 페링하 교수는 분자 모터를 이용해 2011년에는 분자 자동차(아래 그림)도 만들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꿀꺽 삼키면 치료가 싹~! 마이크로 로봇Part 1. 마이크로 로봇이 뜬다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3
거의 없었다고 해요. 학생들과 작가님은 만화를 계기로 그림을 좋아하게 됐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느꼈고, 쉽게 친해질 수 있었거든요.‘동백사랑’이란 필명을 쓰는 학생은 수업을 통해 웹툰 작가를 꿈꾸게 됐다고 해요.“소리를 들을 수 없는 저에게 세상의 이야기를 알게 해 준 게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겨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3
겨울에 수목원으로 날아와 나무에 앉아 있거나 땅에 떨어져 있는 열매를 쪼아 먹어요.
큰
말똥가리 같은 희귀한 맹금류도 차가운 겨울 하늘을 유유히 날아다니지요.물새들도 겨울철 광릉숲을 좋아해요. 국립수목원 앞에 흐르는 봉선사천에는 중대백로나 청도요가 찾아와요. 흰뺨검둥오리나 원앙은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3
주어진 프로젝트들을 섞으며 쉽게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스크래치의 가장
큰
특징은 행동이나 상황을 지시하는 블록들이 이미 만들어져 있어서, 이 블록을 순서대로 쌓는 것만으로 코딩이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C나 자바 같은 어려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지 않아도 되지요.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그저 신비한 동물을 찾는 것이 좋아서 나선 걸까? 아니면 머글 세계의 신비한 동물은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걸까?신비한 동물은 ‘잃어버린 고리’신종 연구는 생태계를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이자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길이에요. 또 생물 사이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진화를 이해하는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사진을 찍는 등 개구리 생태 연구를 계속했지요. 아마엘 볼체 지구사랑탐사대도 연구에
큰
힘이 돼요. 대원들이 보내 준 탐사기록들을 분석하면 수원청개구리 서식지와 생태에 대해 더 넓게 이해할 수 있거든요.”아마엘 볼체 연구원은 앞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을까요?“연구를 계속 하고 싶어요.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은행털이범 ‘ 자루에 몽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그 사이를 뚫고 누군가 재빠르게 도망가기 시작하는 게 아닌가!그때 사람들이
큰
소리로 외치기 시작했다.“은행털이범 ‘자루에 몽탕’이다!”시민의 소중한 재산을 훔쳐가게 놔 둘 순 없다고 생각한 썰렁홈즈는 부랴부랴 은행털이범의 뒤를쫓아가는데….재빠르게 도망가던 자루에 몽탕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밀도 :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밀도가 여러 가지인 물질이 섞여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은 가라앉으려고 하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뜨려고 한다.하지만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따뜻해진 공기가 밀도만 낮아질 뿐 순환되지 않아요. 그래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양초에 불을 붙이면 위쪽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갑자기 진화가 일어났을까요? 고생대가 시작되기 직전에 일어난 환경 변화가 가장
큰
이유로 꼽혀요.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학설이 ‘눈덩이 지구’설이에요.눈덩이 지구는 선캄브리아 시기 말기인 약 7억 5000만 년 전부터 약 6억 3500만 년 전까지 이어진 지구 전체 규모의 빙하기를 말해요. 이후 ... ...
[가상 인터뷰] 백악기에도 새는 노래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2
새로운 친구를 사귀었어! 바로, 노래를 아주 잘 부르는 새야. 산 멀리까지 들리는
큰
소리에, 3단 고음까지!그런데 이 친구가 아주 놀라운 이야기를 전해 줬어. 새들이 7000만 년 전부터 노래를 했다는 거야! 공룡이 살았던 시대부터 다양한 노래를 불렀다는군. 나와 함께 공룡 시대에 노래했던 새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