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 유랑단] 종이한 장 들고 떠나는 다면체 수업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만들며 이해하는 다면체 기자들이 전국에서 수학 체험 수업으로 난다긴다하는 선생님을 찾아가 여러분께 수업을 맛보여 드립니다. 오늘은 무늬가 있는 다면체를 만들 거예요. 수학 교육을 위한 연구 단체인 ‘사단법인 전국수학문화연구회’ 회장 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선생님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암과 맞서 싸울 인류의 새로운 무기가 건설됐다. 서울 신촌에 위치한 연세의료원 중입자 치료센터다. 암은 한국인 사망 원인 1위의 질병이다. 2022년 9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사망자 4명 중 1명이 암으로 사망했다. 종양 제거 수술을 비롯해 방사선 치료, 항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독립할 나이가 지난 A 가족 장남 아모레가 가족들과 점점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가족들로부터 빨리 떠나라는 재촉이라도 받은 걸까. 밤에는 잠도 혼자 잔다. 나도 장녀로서 그가 느낄 설움(?)이 남의 일 같지 않다. 너의 독립을 응원해, 아모레!” -2020년 2월 17일, 필드에서 작성한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그노벨상 수상 목록을 읽다 보면 ‘이렇게 중요한 연구가 왜 노벨상이 아니라 이그노벨상을 받았지?’라고 생각하게 되는 연구를 만난다.2022년 경제학상을 받은 ‘성공하려면 운이 중요할까, 재능이 중요할까?’를 밝힌 연구가 그렇다. 알고보니 이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는 2010년에도 다른 연구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과학고와 KAIST를 거치는 동안 주위의 과학자들을 오랫동안 지켜봤다. 그렇게 만난 우리 세대 과학자의 삶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전자는 주로 하나의 연구 주제를 가지고 대학이나 연구소 같은 안정된 직장을 잡는다. 그 직장에서 남은 생 동안 자신의 연구 주제와 크게 다르지 않은 문제에 매진 ...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를 돌봐 주는 사람은 나보다 나이 든 여자다. 그녀는 차갑고 무뚝뚝하며 묵묵히 자기 일을 한다. 남들이 볼 때는 그렇다. 그녀는 재생된 내 육체가 운동능력을 회복할 때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돌봐주는 존재다. 나의 팔다리를 마사지하고, 재활시간에 훈련센터로 나를 데려다준다.그녀의 진짜 이 ... ...
- [메타버스 여행법] 제페토 월드에서 영상 찍어봤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오하~! 오늘은 제페토 월드에서 영상 촬영하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해요. 월드에 가서 카메라 모양 아이콘을 누르기만 하면 되는 거 아니냐고요? 예쁜 영상을 찍으려면 그 이상의 기술이 필요해요. 그럼 지금부터 노하우 공유 들어갑니다! 눈과 귀에 쏙쏙 들어오는 영상 속으로~! 제페토 월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라떼는” 말이죠. 그러니까 제가 과학동아 기자를 하던 수년 전에는, 독자들과 많은 곳을 함께 다녔습니다. 같이 연구소를 가보기도 하고, 과학자를 만나기도 했습니다. 현장견학으로, 동행취재로, 또는 독자기자 자격으로요. 과학동아 독자는 아무나 방문할 수 없는 현장을 누볐습니다. 얼어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 인간의 몸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세포로 구성돼 있습니다. 30~60조 개 가량의 세포는 엄청난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모양, 기능을 갖고 있죠. 여기서 궁금증, 여러분도 잘 알다시피 우리는 정자와 난자가 합쳐진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만들어졌습니다. 하나의 세포가 둘로, 넷으로 그리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림을 못 그려서 논문을 거부당했다?! 17세기 유럽은 ‘과학혁명’의 시대였습니다. 아직은 과학이라는 단어가 지금처럼 쓰이지 않던 그때, 유럽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신비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아이작 뉴턴은 물론, ‘보일의 법칙’을 발견한 로버트 보일, 탄성체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