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10.1002/advs.202205146 연구팀은 식물 씨앗에서 영감을 받아 토양 상태를 모니터링할 로봇을 개발하는 프로젝트(I-Seed)를 이끌고 있다. 프로젝트 첫 번째 결과물인 이번 로봇은 남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쥐손이풀과(Geraniaceae) 식물의 특성을 모방했다. 이 식물의 씨앗은 발아하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면 ... ...
- Transportation 화성까지 더 빠르게, 더 편안하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첫 지구 궤도 시험비행을 진행했다. 스타십은 화성에 사람과 화물을 보내기 위해 개발됐다. 사진은 1단 로켓 ‘슈퍼 헤비’에 연결돼 발사대에 서 있는 스타십. ‘공포의 7분’ 버텨낸 자만 화성 땅을 밟을 수 있다 ‘승객 여러분, 우주선이 7분 후 화성에 착륙합니다. 멀미약은 좌석 등받이에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동굴 속 광물을 채취해 자원으로 쓸 수도 있고, 동굴을 자연유산으로 보존할 수도 있죠. 개발과 보존의 선택을 직접 해야 하는 겁니다. 당장 목숨이 경각에 달린 정착 초기라면 자원으로 써야겠지만, 여유가 있다면 동굴을 보존할 수도 있죠. 여러분의 선택에 화성의 미래가 달려있습니다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다양한 종류의 상처 각각에 알맞은 전기 자극을 알아내고 관찰하기 좋은 플랫폼이 개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 교수는 생체모방 전기자극을 활용하면 세포 활동을 더 활성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및 생체전자공학’에 2020년 발표한 바 있다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텅 빈 초경량 금속, 에너지 절약 이끌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하지만 스마트팩토리 부서에 배정받진 못했어요. 그래도 기구개발 부서에서 첫 폴더블폰 개발에 참여했어요. 제품의 개발, 생산 과정과 임직원이 10만 명인 회사의 시스템이 돌아가는 방식을 경험할 수 있었죠. 창업이라는 새로운 여정 지금 창업한 회사는 처음부터 설립을 의도하진 않았어요.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도 함께 하고 있다. 또 낮은 전압에서 이산화탄소 환원을 가능케 하는 기술도 추후 개발할 계획이다. 환경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서다.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 제로(0)’를 만들겠다는 전 세계인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이 앞장서고 있다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전 세계의 무수한 석학들과 그들의 연구를 한곳에 모아 세계의 운명을 좌우할 핵무기를 개발해야했던 오펜하이머의 프로젝트는 과학이라는 이름을 제외하면 서로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지금 우리가 당연한 것처럼 생각하는 현대과학이 얼마나 큰 변화를 겪어왔는지 실감하게 된다. 게다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반짝반짝 과일 사탕, 달콤한 탕후루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당분 없이 단백질만을 활용해 단맛을 내는 식품첨가물 ‘스윌린’을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아마이프로틴스의 일란 사미시 대표는 “스윌린은 같은 무게의 설탕보다 4000배나 더 달다”며, “우리 몸에 들어오면 아미노산으로 분해돼 흡수된다”라고 설명했어요. 대체당은 혈당과 비만 걱정 없이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결정의 주도권을 가지는 것은 제한적 조건에서 조금씩 등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우주 개발이 본격화되면 AI에게 결정권을 줘야만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통신 속도의 한계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왕복 통신은 대략 3초 남짓 걸리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지구에서의 원격 제어 또는 인간의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