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리"(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매듭 여러 개가 얽힌 것은 ‘고리’라고 부른다. 복잡하게 얽힌 두 개의 매듭 또는 고리가 서로 같은지 다른지를 밝히는 것이 매듭이론의 주요 과제 중 하나다.나랑 같은 매듭은 누구?복잡한 매듭을 끊지 않고 움직여서 다른 모양으로 만들면 처음과 나중 매듭은 ‘같은’ 매듭으로 볼 수 있다. ... ...
- [Life & Tech] 태평양 한가운데 해양연구 전초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당시 연합군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막는 방패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환초는 거대한 고리 모양의 산호초로, 바다에 우뚝 솟은 화산섬 주위로 산호가 자라다가 오랜 시간이 흐른 뒤 화산섬이 가라앉고 산호만 남은 것이다. 특히 축 환초는 지름이 40km, 둘레가 무려 224km에 달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크다.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더 작은 입자들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 설명에 따르면 10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입자는 고리 안에 존재하기 힘들다. Tip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스터리토성은 태양계 행성 가운데 밀도가 가장 낮다. 자전 속도도 굉장히 빨라서 다른 가스형 행성들보다 타원체 형태로 납작하게 눌려 있다. 때문에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주름(1963)’은 웜홀을 통한 우주여행을 잘 묘사하고 있다. 클리퍼드 시맥의 ‘태양의 고리(1953)’, 고마츠 사쿄의 ‘끝없는 시간의 흐름 끝에서(1965)’, 아이작 아시모프의 ‘신들 자신(1972)’, 밥 쇼의 ‘별들의 소용돌이(1976)’, 프레테릭 폴의 ‘양자고양이의 귀환(1986)’, 잭 윌리엄슨의 ‘시간을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3월 27일에 발표한 외계행성계 HD 115600는 중심별 주변에 암석의 잔해로 이뤄진 밝은 고리를 가지고 있다. 이는 46억 년 전 태양계 탄생 시에 형성된 거대한 고리(카이퍼 벨트 영역)와 매우 유사하다. 태양계는 one of them외계행성계는 그동안 사람들이 ‘진리’라고 여겼던 태양계의 법칙들을 가볍게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유는 자연에서 분해자 역할을 하는 미생물들이 플라스틱을 이루고 있는 고분자 사슬 고리를 끊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폴리에틸렌은 수백 년이 지나도 썩지 않을 정도랍니다.일반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고분자 화합물에 전분을 넣어서 만들어요. ...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알갱이들이 크기에 따라 다른 비율로 고리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토성 고리에는 지름이 약 2m인 얼음 알갱이가 지름이 1m인 얼음 알갱이의 약 1/8 만큼 있습니다. 약 3m 크기의 얼음 알갱이는 약 1m 크기의 얼음 알갱이와 비교하면 약 1/27 만큼 있습니다. 즉, Nm짜리 얼음 알갱이는 약 1m짜리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럴듯하게 들린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메틸화는 DNA 염기 시토신(C)의 육각형 탄소 고리 중 5번 탄소의 수소를 메틸기(-CH3)로 바꾸는 작용이다. 메틸기는 탄소 하나와 수소 세 개로 이뤄진 간단한 형태의 탄소 작용기다. 시토신이 메틸화되면 전사에 참여하는 요소들이 그 자리에 결합하기 ...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료되는 2017년 6월까지만 운전을 계속하고 이후 원전을 폐로, 해체하겠다고 밝혔다. 고리 1호기 해체에는 적어도 15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해체 예산은 6000억 원이 넘는다. 전문가들은 2050년까지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이 1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공간은 사람이 활동하기 편하게 만들어져 있다. 계단이나 사다리를 오르내리고, 문고리를 손으로 돌려 열고, 자동차나 비행기를 타고 이동하고, 의자에 앉아 생활을 한다. 이런 장소에서 로봇이 활약하려면 사람처럼 두 발로 걷고, 두 손으로 일을 해야만 가능하다. DRC가 로봇의 형태에 규제를 두지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