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있다고 경고하며 대비하고 있어요. 현재 우리나라의 한국천문연구원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을 감시하는 우주환경감시기관을 운영하고 있지요. 하지만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을 발견했다면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지금까지 소행성에 미사일을 맞춰 파괴하거나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나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년 동안 역설 나라 곳곳을 둘러볼 예정인데요, 첫 시간이니 오늘은 역설의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면서 친해지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역설, 그것은 진리로 꽃피워날 씨앗이다.” - 벨기에의 생물학자 레오 에레라 역설이란 문제 없어 보이는 전제들로부터 ... ...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식량 분배가 잘 이뤄지지 않아 ‘풍요 속의 빈곤’을 겪는 나라와 지역, 사람들이 많습니다. 식량을 만들기 위해 파괴한 자연은 기후위기를 촉발시켰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식량 공급 문제를 심화시켰습니다. 이제 다시 과학자들이 나섰습니다. ...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가격을 100분의 1 수준으로 내릴 수 있게 됐다. 큐브샛 시장이 급격히 성장한 계기다.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NST) 역시 소형 위성으로 획득한 영상과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회사다. 지난해 12월 9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NST 연구소에서 오형직 ...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위기에 처한 섬나라부터 온실기체를 많이 내뿜는 나라까지,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나라들이 얼굴을 맞댄 거지요. 이들은 10월 31일부터 15일간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어떤 조치를 할 것인지 치열한 논의를 했습니다. COP는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열려왔지만, COP26이 남다른 의미를 지닌 것은 ‘첫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프랑스에서 주도해 제정된 국제단위계예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을 제외한 많은 나라가 미터법을 사용하죠. 같은 단위를 쓰는 게 왜 중요할까요? 그리고 미국은 왜 다른 단위를 쓰는 걸까요? 영상에서 그 이유를 파헤쳐 보세요! 마지막 매머드는 어떻게 사라졌나? 조회수 : 33만 회채널명 :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나무의 뿌리를 갉아 먹고, 온갖 풀을 뜯어 먹으니 점차 숲이 황폐해졌어. 호주에는 다른 나라에 살지 않는, 호주에서만 볼 수 있는 동물이 많은데, 그런 동물들도 살 곳과 먹을 것을 찾기 힘들어져서 영영 사라지게 됐대. 호주 사람들에게 토끼는 골칫거리가 됐어. 사람들이 우리의 도움을 받은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최대 10% 높을 수 있다는 의미다. doi: 10.1038/s41588-018-0273-y 정밀한 질병 진단을 위해선 각 나라의 연령 별, 인종 별, 집단 별 게놈 데이터가 필요한 것이다.그래서 한국도 현재 규모는 다른 국가보다 작지만, 한국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15년 UNIST와 울산시가 시작한 ‘게놈 ... ...
- [특집] 뉴질랜드의 ‘올해의 새’ 타이틀, 박쥐가 뺏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생겼습니다. 새가 아니라 ‘긴꼬리박쥐’라는 박쥐가 올해의 새로 선정된 거죠! 섬나라 뉴질랜드에서는 오랫동안 고립된 환경에 맞춰 여러 동물이 진화해 왔습니다. 이 중 다수는 인간의 침입과 외래종의 도입으로 현재 멸종위기에 처했어요. 뉴질랜드 왕립 산림 및 조류 보호 자선단체 ... ...
- [기획] 고문서 속에 등장한 염전 이야기에 주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고문서에서 염전 위치를 찾아 해수면의 높이를 유추하는 연구를 진행했어요. 과거 나라 운영을 위해 소금을 세금으로 거둬들였고, 소금 생산은 당시 백성의 생계를 책임지는 주요 산업이었기 때문에 고문서에 기록이 꼼꼼하게 남은 덕분이죠.남 박사팀은 『지봉유설』과 주변의 제방 위치와 높이,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