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 세계적인 리더 수학자 양성 김영훈 소장에 따르면 ‘수학자가 수학계 리더로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리더는 본인 연구 분야에 돌파구를 계속 만들어 내며, 그 분야를 이끌어 나가는 사람을 일컫는데요. 허 교수의 연구 업적이 대부분 공동연구임에도 필즈상을 수상한 이유는 그 ...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함수는 어떤 값이 주어지면 그에 대응하는 다른 값이 주어지는 관계다. 함수라는 도구가 생기면서 복잡한 문제를 간단히 표현하고 심지어는 앞으로 벌어질 현상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이번에는 함수가 어떻게 발전했고, 좋은 함수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면서 함수의 중요성을 논하려고 한다. 첫 ... ...
- 성문 분석 AI로 여죄 묻고, 조직 검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과학으로 똑똑하게 보이스피싱범을 잡으려는 연구소에 다녀왔어. 바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이스피싱범의 목소리를 분석해 범죄 조직단을 그룹화하고, 검거된 범죄자가 이전에 다른 죄를 진 것은 없는지 여죄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만나고 왔어! 목소리가 몽타주를 그린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웬디, 비행기에서 난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와, 해외 출장은 처음이라 너무 설레요, 탐정님!”꿀록 탐정 사무소의 명성(?)이 다른 대륙의 동화마을에까지 퍼지는 바람에,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처음으로 해외 출장을 가게 됐어요. 설레는 마음으로 비행기에 들어선 둘은 좌석을 찾다가 익숙한 얼굴들과 마주쳤어요.“어?!” ● 동화마을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중력파란 전 우주 시공간에 일렁이는 물결이다.우주에 분포해 있는 수많은 천체들은 중력장의 물결, 즉 중력파를 만들어내고, 중력파는 사방으로 퍼져 나가며 중첩돼 중력파 배경을 이룬다. 중력파 배경은 잡음과 통계적 특성이 동일하다. 무작위적이라는 뜻이다. 천체물리학자들은 규칙적인 신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언제부터 우리가 스크롤을 ‘내려’ 다음 정보를 보는 동물이었던가. 50년 전만 해도 우리는 종이를 넘겨 다음 정보를 읽었다. 그보다 5만 년 전에는 돌이나 나뭇잎 따위를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가며 정보를 얻었다. 그게 당연했다. 2023년 인류는 다시 들추고, 끌어당기고, 만져서 정보를 얻는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8화. 모든 말에는 의미가 있다, 심지어 욕설까지도과학동아 l2023년 08호
- ※ 편집자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매년 듣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 나오는 연구 약 10개에 수여되고 있죠. 하지만 웃음 너머로 과학의 본성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연구들을 조명하는 상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당신은 오늘따라 기분이 좋다. 배는 적당히 부르고 햇살은 따사롭다. 콧바람을 흥얼거리던 그때, 평소 갖고 싶었으나 망설이던 물건이 눈에 띈다. 가방일 수도, 전자기기일 수도, 혹은 자동차일 수도 있겠다. 유독 기분이 좋던 당신은 평소라면 더 고민했을 그것을 단번에 구매하기로 선택한다. ...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마찰전기’. 단어만 들었을 땐 새로 등장한 전기의 종류 같지만 실은 정전기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겨울에 코트를 벗으면서, 어릴 때 풍선을 머리에 문질러보면서 정전기를 느낀 기억이 있으실 텐데요. 이렇게 일상적으로 접하는 마찰전기 현상이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란 새로운 에너지 기 ... ...
- [수학공부] 수학의 재미를 찾으려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박병하 /경기북과고 3학년 : 우리는 왜 수학을 공부해야 하나요? 시시하지만 가장 좋은 답변은 ‘수학을 꼭 할 필요 없다’는 거예요. 수학의 매력을 온전히 느끼려면 일단 수학을 전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게 첫 번째 단계인 것 같아요. 시, 음악, 영화도 그렇고, 사람들이 하는 대부분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