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이현 연구소장은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는 잠자리 애벌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의 먹이가 된다”며 “모기가 박멸될 경우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경고했어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사람에게 큰 피해를 주는 모기, 아예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할까요? ... ...
- [메타버스 여행법] 템플릿으로 손쉽게 나만의 아이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클로딩 메이커(clothing maker)’ 앱을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콜라주와 만화 필터, 다양한 서체를 지원하는 픽스아트(Picsart) 앱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요. 사진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는 앱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답니다. 3. ‘캐릭터 미리보기’로 아이템 입혀 보기 아이템을 디자인해 본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주 동안 중국어나 라틴어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하지 않는 설형 문자나 산스크리트어까지 다양한 언어와 그 언어와 연관된 수학사를 탐구해요. 더불어 수학사를 연구하는 젊은 연구자를 육성하기 위해 이 워크숍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책도 출간할 예정이에요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세 번째 질문 | 수학은 발견인가, 발명인가? 인문학자 : 수학적 대상이 정말 다양하다 보니까 가끔은 수학자가 이 대상을 만들어내는 것 같기도 하고, 자연에 숨겨 있던 대상을 발견하는 것 같기도 한데요. 수학의 언어가 충분히 정립되지 않았던 때, 특히 고대에는 자연에서부터 수학의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헬스케어 기술 경쟁도 치열하다. 산학연의 선순환적인 연구 환경을 통해 양자점 기술이 다양한 응용 기술로 계속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끊임없는 질문과 과학에 대한 헌신 노벨상을 만들다 필자는 바웬디 교수 연구실에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당시 필자는 양자점의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야마노 교수 역시 과학 연구의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해 각 나라의 언어로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송 교수는 “나라마다 다른 과학 용어를 통일하는 것부터 어렵다”고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며 즐겼던 수업들입니다. 예를 들면 ‘파동’ 단원에선 학생들이 다양한 재활용품으로 직접 악기를 만들고, 그 악기들을 연주하며 음파를 분석하는 수행평가를 진행했던 게 기억에 남습니다. 지식으로만 알았던 사실들을 직접 경험하고,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물로 ... ...
- [DGISTX융복합 파트너] 경쟁상대가 아닌 협업의 도구 AI-인간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양질의 기계학습 레이블 데이터를 수집해서 AI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DIAG는 다양한 인간-AI 상호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DIAG는 올해 HCI 분야 최고 학회인 CHI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관리자들의 시간과 노동을 줄일 수 있는, AI 기술을 탑재한 온라인 모더레이션 샌드박스 시스템을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거대한 분자입니다. 크기만큼 복잡한 구조를 지녀 많은 정보를 담고 있죠. 이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단백질로 작곡하면 어떤 멜로디가 나올까요? 단백질 속 모든 정보는 작곡의 요소? 머리카락, 피부, 장기 등 우리 몸을 이루는 대부분의 기관들은 모두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어요. 하지만 단백질에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점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김정 편집장은 “대원들이 다양한 탐사 데이터를 올려준 덕분에 과학 논문 4편이 출간됐고,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킬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발대식에 온 대원들은 인생네컷 사진도 찍고, 지사탐 티셔츠도 입어보며 재미있는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