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으)로 총 1,7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걸쳐 100여 마리가 넘는 민물고기를 잡고 관찰했다.각자 잡은 민물고기는 관찰 후 물로 돌려보냈다.➋ 가슴 장화를 입고 가족과 함께 족대로 민물고기를 잡는 탐사대원들.➌ 23일 탐사에 참여한 대원들. 한편 23일 탐사에서는 혼인색이 아름다운 ‘각시붕어’, 메기와 미꾸라지를 섞어놓은 것 같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돌을 움직이는 사람이 지는 게임입니다. 잘 알려진 배스킨라빈스 게임★은 끈이 하나에 돌이 31개인 님 게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직접 촘프 게임과 님 게임, 배스킨 라빈스 게임의 승리 전략을 찾아보세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음을 동시에 나타내는 ‘무성할 자(兹)’가 더해졌어요. 금속을 달라붙게 하는 돌을 뜻하지요.그리고 ‘기운 기(氣)’는 구름이나 김 같은 기운이 위로 피어오르는 모습을 본뜬 상형 문자(气)와 ‘쌀 미(米)’가 합쳐진 한자예요.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나 기세, 숨 등과 관련된 낱말에 사용돼요.한편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보면, 처음에는 분석 대상이 된 위성들이 하나씩 화면에 등장하면서 한 바퀴를 완전히 돌 때마다 마치 실로폰처럼 자신의 음계를 울린다. 그 뒤 화면은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궤적을 추적한다. 토성 고리를 가로질러 지나갈 때 각 고리의 음계가 연속해서 울린다. 소리의 크기는 각 고리의 관찰 ... ...
- 도전! 자전거 마스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그러고 나서 곧바로 핸들바를 왼쪽으로 돌리면 무게중심이 왼쪽에 있으므로 쉽게 돌 수 있습니다. 왼쪽으로 가고 싶으면 오른쪽으로 꺾으라니, 모순처럼 들리나요? 직접 해보면 얼마나 효과가 큰지 알 수 있을 거예요. 비결5.오르막에서는? 렛츠 댄스! 진정한 프로는 힘들 때 웃는다는 말이 있지요.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그래서 첨성대는 어느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져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을 이루는 돌은 안쪽으로 뿌리가 길게 뻗어 있어 무게 중심이 안쪽에 위치해 쉽게 붕괴되지 않았다. 첨성대에서 가장 놀라운 점은 지진파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무게추’가 달렸다는 것이다. 현대 건축물에는 지진에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나를 때(파지 모드) 등 상황에 맞춰 양손 모양을 바꿔가며 두 손이 협력하게 한 것이다. 돌보다 무른 사물, 복잡하게 생긴 물건을 옮길 때는 손가락이 4개 달린 로봇 손으로 바뀐다. 히로시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새로 개발한 로봇 손은 차량의 문을 열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한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자철석으로 만든 ‘천연 내비게이션’인 나침반을 썼다. 자철석 중에는 ‘길을 찾는 돌’로 불리는 로드스톤(lodestone)이라는 천연 자석도 있다. 자철석이 천연 내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지구 자체가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이다. 철과 니켈로 이뤄진 고체 상태의 내핵을, 성분은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자기장이 주어졌을 때 물질이 자성을 띠는 정도인 대자율(자화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돌의 기원과 생성 환경에 따라 자성이 다르기 때문에, 오름이 분출한 용암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다.이진영 책임연구원은 매의 눈을 가진 ‘호크아이’를 닮았다. 지질도와 손목에 찬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과거와 달리 지금은 재료가 외부 힘에 의해 변형됐다가 힘을 제거하더라도 원래 형태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런 소성까지 고려한 ‘극한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 지은 초고층건물은 전보다 훨씬 높으면서도 부재의 크기는 작아졌다.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