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목성형 행성을 연달아 발견했으며, 2017년에는 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함께 지구 질량의 1.43배 정도인 외계행성을 찾은 바 있다. 이충욱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은 “국경을 막론하고 외계행성을 찾는 이유는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또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만큼 앞으로 점점 더 선명한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에 우주정거장이 떨어진다?! 2018 우주 빅뉴스 5Part 1. ... ...
- [과학뉴스] 고마웠어,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난 10년 간 ‘우주를 보는 눈’이 돼 준 케플러 우주망원경(아래 사진)이 은퇴를 앞두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3월 14일 보도자료를 통해 “케플러의 연료가 거의 ... 지구로 전송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플러의 후임은 NASA가 4월 16일 발사 예정인 ‘테스(TESS) 우주망원경’이다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확실히 보이듯 지구는 공처럼 둥글다. 물론 맨눈으로 보이는 태양이나 달,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화성이나 금성 등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천체는 구형이다. 질량이 충분히 큰 물체는 내부 중심으로 중력이 작용하는데, 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 모양을 띠고 있다. 연구팀은 육면체 지구의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국은 현재 과학 분야 세계 기록을 갈아 치우고 있다. 2016년 지름 500m의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을 완공한 데 이어, 2017년에는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이용해 대륙간 양자암호통신 실험에 성공했다. 베이징에서 오스트리아 빈까지 7600km에 이르는 거리다. 올해 1월에는 세계 최초로 영장류인 원숭이 ...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두 차례 이상 발생했다. 연구진은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천문대에 있는 윌리엄고든망원경에서 FRB121102의 신호를 16차례 반복적으로 감지한 뒤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파열음은 높은 ‘패러데이 회전율’을 갖고 있었다. 패러데이 회전은 전파가 전리권을 통과할 때 지구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외에도 독자 개발한 세계 최초 양자통신위성 ‘모쯔(墨子)’,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 ‘톈옌(天眼)’ 등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서 청소년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관심을 갖고, 전공을 선택하고, 우수한 과학기술자로 성장하는 과정은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양에서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더욱 멀리 있는 천체를 자세히 관측하기 위해 작은 거울을 이어 붙어 대형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는데, 가리비 역시 마찬가지예요. 가리비는 수백 만개의 거울을 이용해 정확하게 사물을 볼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는 200개나 되는 눈을 몸 전체에 배치하고 있다”며,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또 행성의 공전 주기는 약 13일로 지구(365일)에 비해 훨씬 짧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알아냈다. 또 시민 과학자들의 데이터 분석을 돕기 위해 특수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행성이 별 표면을 가로질러 갈 때 별빛을 가려 어두워지는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분해해 지구로 회수하면 어떨까. 현재까지 인류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이나 우주망원경 등 우주 물체를 우주 공간에서 해체해본 경험은 없다. 일부 수명이 다한 소형 인공위성을 우주왕복선이 가서 지구로 회수해본 것이 전부다. 위험을 무릅쓰고 우주인이 ISS 바깥에서 유영하며 모듈을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