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 항공 우주국"(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 천왕성 & 해왕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해왕성을 직접 방문한 탐사선은 1977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발사한 보이저 2호가 유일하다. 보이저 2호는 1986년 천왕성을, 1989년에는 해왕성을 근접 비행했다. 이때 천왕성의 위성 10개와 2개의 고리를 발견했고, 해왕성에도 고리가 있는 것을 확인됐다. 보이저 2호는 2018년 11월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 ...
- 로봇♥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로봇♥사람Part 1.로봇과 마음을 주고받아요!Part 2.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Part 3.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Part 4.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Part 5.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 ...
-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번째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로봇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김윤경 박사님을 만났습니다. 저 멀리 우주에서 사람과 로봇이 소통할 일이 있을까요? NASA에서는 어떤 로봇을 만드는 걸까요?"먼 우주에서도 HRI가 중요!"●정 : 우주 로봇이라면…, 로버인가요?●김윤경 박사(이하 김) : 맞아요. 뿐만 ... ...
- 비하인드┃아폴로11 성공을 만든 결정적 장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1969년 7월 2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발을 내디뎠다. 달 표면에 선명히 찍힌 인류의 첫 발자국 사진을 한 번쯤은 봤으리라. 그런데 사실 발자국의 주인공은 암스트롱이 아니다. 발자국의 주인은 두 번째로 달에 내려선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외계생명체조차 증명하지 못했다. 2010년 1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외계생명체의 증거로 ‘비소 박테리아’를 발표했을 때 처음으로 미스터리가 풀리나 싶었다. NASA는 미국의 한 호수에서 발견한 박테리아 ‘GFAJ-1’이 지구의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원소 6가지(탄소, 수소, 질소, 산소, 인, 황) 중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정상나선은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005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Spitzer) 우주망원경의 관측을 통해 나선팔이 2개인 막대나선은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부수적인 나선팔이 몇 개 더 있지만, 대부분 가스와 먼지로 구성돼 있고 항성은 드문 것으로 추정돼 아직 공식적인 나선팔로 인정받지 ... ...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두꺼워 표면 온도가 섭씨 영하 176도로 낮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파이오니어 11호가 1979년 토성에 최초로 접근했고, 보이저 1호와 2호가 각각 1980년과 1981년 토성을 근접 비행했다. 이를 통해 토성의 북극에는 초속 322km에 이르는 제트 기류가 3만km에 걸쳐 육각형 모양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구성하는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실제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999년 발사한 무인탐사선 스타더스트(Stardust)가 2004년 빌트 2 혜성의 주변을 통과하며 가스와 먼지를 포집한 결과, 우주먼지 속에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있었고 그중에는 아미노산인 글리신도 있었다. 아미노산은 생체 분자인 단백질의 ...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주장한다.NASA제공 벌써 50년이다. 1969년 7월 2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디뎠다. 그는 “한 인간으로서는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 전체에는 위대한 도약”이란 말로 감격을 대신했다. 이 말이 그가 우주에 가기 전부터 생각한 ‘준비된 멘트’인지, ... ...
- 질서┃우주 동결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암흑에너지라고 불렀다.암흑에너지는 2003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확증됐으며, 이로써 2011년 펄머터 교수와 슈밋 교수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암흑에너지는 등장과 동시에 우주의 미래를 좌우하는 주요 변수가 됐다. 암흑에너지가 지금과 동일한 밀도를 유지하며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