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굴 노출 절대 금지! 국가 지키는 정보 보안 전문가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암호학은 자라며 탈바꿈하는 나비처럼 새로운 암호 형태가 계속해서 등장하면서 조금씩 발전해나가는 매력도 있어요.” 이 연구원은 박사 과정 시절인 2017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암호 설계 공모전인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에 참가했어요. 여기서 암호를 ... ...
- 당신은 슬기로운 사람인가요 ?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한 마디로 대답했다. “네.”DK 브레이킹 바운더리스는 기후변화가 낙후된 사회를 더 발전시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사실을 짚고 있다. 마샬 버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이 2015년 발표한 논문은 이를 뒷받침 한다. 버크 연구팀은 경제 활동이 기후와 밀접하게 연결돼 온난화가 세계 소득 불평등을 ... ...
- 미래세대 해양탐구 프로젝트 I 부산, 청년과 바다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24시간 멈추지 않는 파도를 이용한 파력발전의 유형을 소개하고 인공 파도를 만들어 파력발전 원리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수조 앞에도 학생들이 북적였습니다. 가상현실(VR) 고글을 쓰고 광안리 바다를 둘러볼 수도 있었지요. 평소 화학에 관심이 많다는 강신영 학생은 식물플랑크톤을 바이오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어디서나 함께 음악을~♪ 블루투스 스피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이후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발명으로 무선 통신 기술은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덕분에 라디오 방송부터 스마트폰의 전화와 인터넷까지 무선으로 가능하게 됐어요. 무선 통신은 전파의 주파수●에 따라 그 용도가 다릅니다. 주파수가 높으면 많은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지만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싶은 것들을 해왔어요. 앞으로도 그렇게 하고 싶어요. 이하린 : AI는 워낙 빠르게 발전하고 기술도 계속 새롭게 나오고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AIAR이 AI로 새로운 시도를 가장 많이 하는 단체가 됐으면 좋겠어요. 지금처럼 그 시도를 재밌게 풀어나가면 좋고요. * 안창욱 GIST 교수팀이 개발한 ... ...
- [가상인터뷰] 숲과 생태계를 지키는 박쥐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수백만 마리가 죽어서 일부 종이 멸종위기에 이르기도 했죠.숲 속에 세워진 풍력 발전기에 충돌해 죽는 경우도 많이 늘어났고요. 숲에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우리에게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국내 최대 규모의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 80여명의 시민 탐사대원으로 시작돼 지금까지 약 2만명의 시민 ...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 [힉스 10년] 빅뱅보다 먼저 일어난 급팽창, 힉스가 원인일까과학동아 l2022년 12호
- 0세기에 뿌린 씨앗이 21세기 우주의 최초 모습을 연구하는 토대가 된 것처럼, 이 토대에서 발전한 물리학이 새로운 발견의 전기가 될지 모른다. 모르는 영역에 들어가는 것만큼 지적으로 흥분되는 일은 없다. 힉스 입자가 그 길을 열어주고 있다. ※필자소개.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정보통신기술의 핵심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AI나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등과 융합해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죠. 해외에서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와 같은 ‘IT 공룡’들이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고, 국내 이동통신 3개 회사의 전문가들도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해저 도시는 사람이 해저에서 장기간 생활하기 위한 거주 시설과 수중 연구 시설, 해저 발전소 등이 모인 공간입니다. 울산연구원 정원조 전문위원은 “동해는 물이 탁하지 않아 물속에서 시야 확보가 잘 된다”며 “울산이 동해 내에서도 20년간 해저 지반이 가라앉은 이력이 없고 조선●,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