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능
방사
복사선
방사물
d라이브러리
"
방사선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가벼워야 한다. 한국 전통 식품용 우주 포장 용기 지난 2008년에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
과학연구소 이주운 박사팀이 개발한 한국 전통 식품용 포장 용기. 러시아 생물의학연구소에서 인증을 받아 2008년 이소연 박사가 국제우주정거장으로 갈 때 한국 우주식품을 보낼 수 있었다. 이 용기는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표지자가 든 캡슐을 20개 정도 복용한 뒤, 5일이 지나면 복부를 X선으로 찍는단다.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가 20%(4개) 미만이 남아 있어야 내가 제때에 집에서 독립한다고 판독한다.고마운 존재나를 키운 건 8할이 장내세균이다. 우리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데, 그들은 식구가 많아 언제나 득실득실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입을 만큼 강력한 빛을 내는 태양은 끝없이 폭발하는 핵폭탄과 같아서 엄청난 양의
방사선
을 우주로 방출한다. 태양으로부터 350~700㎞/s의 속도로 날아오는 이 입자들이 생명체에 직접 접촉된다면 지구에는 살아남을 수 있는 생물이 하나도 없을 것이다. 태양풍 안에 포함된 일부 입자들이 밴 앨런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반죽을 개는 데 쓸 수는 없기 때문이다.달처럼 대기가 없는 환경은 태양열뿐 아니라
방사선
도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에 마치 원자력발전소 안에 건물을 짓는 것과 같다. 또 달 중력은 지구의 6분에 1에 불과하다. 이처럼 건설 환경이 판이하기 때문에 달이나 화성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박사학위를 바은 뒤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영상의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전공인
방사선
학을 이용해 엑스레이아트라는 새로운 예술 장르를 개척한 그는 과학과 의학, 그리고 예술을 사랑하는 진정한 괴짜 의사다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뜻이다.병원균 감염을 막기 위한 소독 역시 철저히 이뤄지고 있다. 분유나 사료는 모두
방사선
의 일종인 감마선으로 멸균해서 먹인다. 인큐베이터에 들어가는 모든 물품은 자외선을 쪼이고 2시간 이상 소독약(모노퍼설페이트 화합물)에 담갔다 쓴다.모노퍼설페이트 화합물 원액은 피부에 묻으면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대해 세밀하고 꾸준한 역학조사도 이뤄져야 한다.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기 전에
방사선
으로 바이러스를 죽이긴 하지만 일부가 살아남아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첫 혜택은 당뇨병 환자에게 뉴질랜드 생명공학기업 리빙셀테크놀로지(LCT)는 최근 돼지 췌도를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고지순한 원자력 사랑에 위기는 없었을까?“1979년에 미국 스리마일 섬의 원전에서
방사선
이 누출되는 사고가 있었어요. 1986년에는 체르노빌 원전이 폭발했죠. 그때 원자력공학은 한마디로 ‘죽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가 MIT에서 유학하던 1981~1986년 당시 학과가 거의 문을 닫을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해 전체 아미노산 함량도 일반 동안벼에 비해 76%나 높아졌다.
방사선
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해 특정 형질을 갖도록 하는 이른바 ‘돌연변이육종’ 방식이다.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신문식 연구관은 “우리 연구팀은 요즘 흰잎마름병에 잘 견디는 새로운 벼 품종을 개발 ... ...
원자력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원전의 안전에 대한 연구와 함께 방사성 준위가 높은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하거나
방사선
준위를 낮추는 연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3. 어디에 있어요?원자력시스템공학은 원자핵공학을 전공하는 학과에서 배울 수 있다. 국내 대학 중에서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