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장
간사
주임
경영자
이사
원장
d라이브러리
"
부장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소립자연구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장치다. 이휘소는 페르미연구소의 이론물리학
부장
으로 임명돼 가속기를 이용한 소립자연구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됐다. 아울러 대학도 가까운 시카고대학 정교수로 옮겼다.74년 9월 이휘소가 미 국무부 자료조사원의 일원으로 20년만에 귀국했을 때 그는 이미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도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표준연구소 박종철 박사(양자 연구
부장
)은 "고온초전도체는 물질 자체가 4,5종의 원소로 이루어진 산화물이므로 화학적 안정성 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종전의 금속초전도체와는 달리 실용화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고 예상하면서 "올해 결성된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제는 사진을 배우러 다녔다. 책이 주로 선생이었지만 박용윤(당시 동아일보 출판사진
부장
)에게 망원렌즈사용법, 필름의 감도 등의 가르침을 받기도 했다. 그때부터 카메라 이외의 부대장비를 구입하러 다시 노동일을 시작해 6개월 노동, 6개월 촬영의 '1년 살이'를 되풀이 했다.김수만씨가 10년동안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람들의 모임인 계룡아마추어천문회를 가지고 있었다. 유진규 소장(작고)과 유원준 기술
부장
(유 소장의 아들)에게 KAAA 실정을 진지하게 설명하고, 적어도 단체 안에서는 상업성을 띤 일을 배제하기로 약속하고 계룡 아마추어 천문회를 KAAA에 합병시켰다.유원준씨를 총무로 새로 맞이한 KAAA는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KIST 생물공학부 33인이 주축이 되어 창단작업에 들어갔다. 자연 첫 소장은 당시 생물공학
부장
이었던 한문희박사의 몫이었다.한박사는 "인력 기술 기자재등 연구의 3요소가 전부 형편없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래서 80년대말까지를 제1기로 잡고 유전공학기술의 기반구축에 역점을 두었지요. 또 인력을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않아 안타깝다"고 말한다.유럽에서는 프랑스 원자력청 산하 샤클레연구소 수석연구
부장
을 맡고있는 노만규박사(54)를 들 수 있다. 그는 중간자들이 핵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2백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관심을 쏟고있는 분야는 중성자별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국내에서는 김진의교수(4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그외에도 이론물리학의 권위자로 프랑스에서 이름높은 민선식박사(70·낭트대 물리학
부장
)가 있으며, 이경종교수(54·서독 브라운 슈바이크대)가 재료공학 가운데 피로현상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 또 소설가인 정비석씨의 사위인 신구철박사(60·슈투트가르트대)가 쓰레기전문가로 ... ...
기술장벽 뛰어넘는 호기로 삼아야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추진하는 것은 우리측의 입지만 불리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KIST 기계연구
부장
권오관박사는 대소(對蘇) 과학기술교류 창구는 반드시 일원화돼야 한다고 강조한다.소련측이 현재 8백여개의 구체적인 기술교류품목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로 나오지만 노-고르바회담에서 보여준 저들의 ... ...
PART Ⅱ 국내 인공지능연구 누가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우리말을 알아듣는 컴퓨터를 만든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책임을 맡은 컴퓨터연구
부장
박치항박사는 "지능형컴퓨터는 엄밀히 말해 인공지능컴퓨터는 아니다. 현재 선진국들이 경쟁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미래형 컴퓨터를 순수하게 우리 기술로 구현해 보려는 시도일 뿐"이라며 "지능형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교차하고그런데 1989년 5월 KAIST에서 열린 '신소재(新素材) 200 심포지엄'에서 KAIST 금속
부장
최주박사는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덕천리에서 발굴한 유리모양의 덩어리가 사실은 슬래그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그의 주장은 일부 일간지에 보도됐다. 그 보도에 접했을 때 나는 이전의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