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단점
급소
취약점
결함
흠
단절
d라이브러리
"
약점
"(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가공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아울러 합성 플라스틱의 최대
약점
, 즉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됐다.그런데 어느 날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사건이 발생했다. 물속에서 실험을 하던 중 용매인 물이 완전히 한 덩어리로 굳어 반응기가 ... ...
PART 2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선진국에 비해 큰 차이는 없으나 아직도 보완해야 할 점이 꽤 눈에 띈다. 가장 두드려진
약점
은 로봇의 운동속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또 로봇의 프로그래밍 기능과 제어 기능에 있어서도 아직 미흡하다.그러나 이런 기술차는 곧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산업에 많이 ... ...
PART 1 로보틱스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를 수정하기 곤란한 단점도 있다. 반면 AC모터는 부피가 크고 값이 비싸다는 치명적인
약점
이 있다.끝으로 DC모터는 제어하기는 다소 어려우나 값이 싸고, 소형이라는 점이 유리하다. 그리고 폐쇄형회로(closed loop)를 꾸밀수 있어 매니퓰레이터의 잘못된 작업을 쉽게 수정할 수 있다.이들은 모두 ... ...
뉴로컴퓨터의 베일을 벗긴다(상) 인공지능연구의 돌파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따라서 복잡한 화상처리의 경우, 많은 계산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것이 오늘날 컴퓨터의
약점
으로 지적되는 것이다.이와 같이 정보처리를 단순히 분류했을 때, 한 단계 한 단계씩 밟아가는 형태의 직렬형과 일제히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해가는 병렬형이 있다. 컴퓨터는 직렬의 정보처리이고 인간은 ... ...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있다.그러나 교통량은 점차로 증가하는 데 언제나 최대시간의 사이클을 사용한다는 점이
약점
이다. 따라서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들에게 큰 불편을 준다. 사이클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횡단기회가 한 사이클에 한번씩 밖에 없으므로 보행자들은 꽤 오랫동안 신호등 앞에서 기다리게 된다.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경구투여하지 못하고 늘 정맥주사를 놓아야 한다는 사실은 약품의 성격상 결정적인
약점
이었다.그들은 경구투여가 가능한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 2천여 화합물을 스크리닝했다. 그중 약효가 있는 물질은 오직 하나 있었으나 독성이 강해 약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연구가 암초에 부딪친 것이다.197 ... ...
PART4 주차난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높이기 위해 기계를 이용, 입체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띠라서 평면주차장의
약점
을 많이 보완해 준다. 실제로 지상공간을 이용한 평면주차의 경우, 주차장내의 내부동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많아서 비효율적 면도 없지 않다. 토지의 형상에 따라서는 동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주차면적 ... ...
공사비 적게 들고 곡선주행 빠른 모노레일 항공전철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과제.무엇보다 아직 세계 어디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고속전철이 실용화된 예가 없다는
약점
이 있다. 이 방식은 말하자면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여건을 감안해 조규형교수팀이 고안해낸 독창적인 발상. 항공전철은 전력계통을 제외하고는 별로 첨단기술도 아니어서 집중적으로 연구한다면 ... ...
암의 메커니즘까지 밝혀낸 분자생물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가능하다.항암제 개발에도 성장인지를 이용하고 있다. 그간에 제도된 함암제의 최대
약점
은 선택성이 부족하다는 데 있었다. 즉 눈먼 장님처럼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가리지 않고 파괴시킨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성장인자의 수용체를 겨냥하는 기법도 현재 ... ...
주변기기 선택요령③ 카드의 활용을 다양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사용되는 대부분의 컬러그랙픽카드는 EGA(Enhanced Graphics Adapter)이다. 이 카드는 CGA카드의
약점
인 해상도를 개선해 표준해상도를 640×350까지 끌어올렸으며 표현가능한 색상도 64컬러까지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참고로 500×500이상의 해상도이면 컬러TV의 선명도에 견줄 수 있는 수준. EGA카드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