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인
대인
성년
집안어른
가구주
선배
연장자
d라이브러리
"
어른
"(으)로 총 1,06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아이가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을 하게 내버려 두지요. 그렇게 교육받고 자란 덕분인지
어른
이 돼서도 줄곧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어요.수학 변방에 희소식을 전한 필즈상 수상자들아르투르 아빌라 교수와 마틴 헤어러 교수는 자신들이 태어난 조국에 첫 번째로 필즈상을 안긴 수상자들이다.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있는 그래닉 교수는 해외 대학 대신 UNIST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미국에는 ‘아이는
어른
의 아버지다’라는 격언이 있다”며 “UNIST는 역사는 오래되지 않은 ‘아이’ 학교지만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멋진 학교”라고 말한다. 19명의 석학이 이끄는 UNIST 화학 트랙의 이야기는 이제 막 시작하고 있다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세웠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어린 시절에 충분한 영양이 주어지면 체격이 좋은 건강한
어른
새가 될 뿐 아니라 신경계도 발달해 노래를 잘 부르게 된다. 따라서 노래를 듣는 것만으로도 노래하는 수컷의 체격이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실제로 멧새과의 일종인 늪노래참새(swamp sparrow)를 보면 새끼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양자역학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크고 고전역학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작다. 아이도
어른
도 아닌 청소년이라고나 할까.요즘은 나노계가 대세지만, 나노계를 마음대로 다룰수 없었던 1980~90년대는 중시계가 양자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주제였다. 고전역학에서 카오스는 흔한 현상이지만, 양자역학에는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또 앞으로 꿈이 얼마든지 바뀔 수도 있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지금 품은 꿈이 내가
어른
이 됐을 때에는 이미 시대에 맞지 않을 지도 몰라요.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대부분의 지식이 인터넷에 있는 상황에서 열정적인 아마추어라면 뭐든 만들 수 있어요. 만드는 주체가 국가나 기관에서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게 재구성해주자. 그리고 즐거웠던 일들을 자주 반복해서 함께 이야기해보자. 나중에
어른
이 되어서도 아이는 즐겁고 행복한 유년기의 기억을 보다 더 많이, 오랫동안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 ...
잠과 꿈의 몽상학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잘 하게 된다. 어린이가
어른
보다 기억력이 좋은 것도 느린 뇌파 수면이 길어서다. 만약
어른
이 느린 뇌파 수면을 늘릴 수 있다면(실제로 뇌에 전기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질 좋은 수면을 늘리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기억력 역시 다시 좋아질지도 모른다.시냅스의 조절자최근 잠과 관련해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영화 ‘후크’에는
어른
이 된 피터 팬인 피터 뱅스가 나온다. 피터 뱅스는 그냥 평범한
어른
이다. 가정은 뒷전인 채 일에만 미쳐 살아간다. 하지만 네버랜드로 다시 돌아가 모험을 하며,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모든 가장의 고민도 비슷하다. 하루는 24시간뿐이니 직장에 들이는 시간을 줄여야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무척 행복한 사회예요. 아이는 태어나서 평균 44개월 동안 엄마의 관심을 독점하고,
어른
들은 아이들이 삶에 기쁨을 주는 아주 소중한 존재라고 생각하죠. 사회적으로 자녀를 많이 두는 것을 이상으로 여기고, 갓난아기를 돌보는 일은 부부의 가장 중요한 일이 되니까요. 그러나 현대적 의료기술의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천식환자의 비율은 저소득 지역이 가장 높았다. 저소득 지역 어린이들이 부모 또는 주변
어른
의 돌봄이 상대적으로 적은 등 미세먼지에 쉽게 노출되는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수십~수백만 원 대의 공기청정기를 집 안에 들여놓을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일까를 생각해보면 이런 건강불평등이 쉽게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