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겨우 20cm밖에 나지 않았다는 사실이야. 긴 줄자가 있다 해도 줄이 팽팽하지 않으면
오차
가 커질 텐데 말이야. 그래서 이집트 사람들은 줄자 대신 원판으로 거리를 쟀다고 해. 반지름을 알면 원판 1바퀴의 길이는 정확하게 알 수 있거든.원판의 원리는 피라미드에 실제로 나타나 있어. 피라미드의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바다의 종합안내시설국토부는 2002년 국내 해역 전역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의
오차
를 1m 이내로 줄인 DGPS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을 갖춘 선박은 한국 근해에선 언제 어디서나 바닷길을 찾을 수 있다. 군함은 레이더 위에 자신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레이콘’ 장비를 쓰기도 한다. 이런 ... ...
대중교통 정복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계산값(200km×56.77원)+(90.8km×50.24원)=15916원멀리 갈수록 부담 적은 고속버스거리의
오차
를 생각하면 16100원과 비슷하다. 마찬가지로 부산까지 요금도 계산할 수 있다.최근에는 일반고속버스보다 우등고속버스가 더 자주 다닌다. 우등고속버스는 일반고속버스보다 조금 더 비싸다. 1~200km까지 1km당 82.9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볼펜의 굵기는 일정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컴퍼스로 그린 ‘원’의 반지름에는
오차
가 있습니다. 컴퓨터로 그린 원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결국 완벽한 원은 오직 우리들의 상상 속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지요. 그렇다면 완벽하지 않은 원을 우리는 왜 공부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거결과를 완벽히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여론조사에서
오차
가 얼마나 되는지는 ‘95% 신뢰구간에서 ±2.5%’와 같은 수치로 알 수 있다. 95%라고 하면 100명 중의 95명은 여론조사 결과대로 응답하고 나머지 5명은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이처럼 여론조사는 소수의 의견으로 ... ...
작전명령 ② 정확한 지도를 만들어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원이 일치하도록 맞춘 뒤 투영한 방법이지. 이렇게 하면 그 경선 근처에서는 지형의
오차
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특정 지역의 지형도를 만들 때 주로 횡축 메르카토르투영법을 이용해.이처럼 지도를 만들 때 투영법은 중요하고 또 기본이 되는 원리야. 이런 투영법이 발달하면서 사영기하학이라는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들 국가의 잠수함 활동범위는 아직 제한적이다. 앞으로 더 정교한 시스템이 나오면
오차
가 줄어들고 조종사 없는 비행기, 선장 없는 배, 기관사 없는 고속철, 운전사 없는 자동차 운행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쏴 반사된 빛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시로 달까지의 거리를 재고 있는데,
오차
가 15cm 정도에 불과하다.멀리 떨어진 물체의 위치를 탐지할 때는 레이저 레이더, 즉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레이더가 마이크로파(파장 1~1000mm)나 밀리미터파(파장 1~10mm)의 전파를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한 시료를 측정하는 데 5일이 걸리고 누가 측정하느냐에 따라 같은 시료에서도 30% 이상의
오차
가 난다. 현재 미생물연료전지형 BOD센서는 국내에서 실용화에 성공해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현재 미생물연료전지 연구는 폐수나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는 설비의 실용화를 ... ...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4년마다 열렸다는 사실을 그대로 이어받았어. 고대올림픽이 열리던 당시 로마의 달력은
오차
가 심해서 4년마다 표준시를 조정해야 했어. 그래서 표준시를 조정하는 해마다 올림픽을 열기로 한 거지.3 야구처럼 4번이 주목받는 스포츠는 없을 거야. 타자 9명 중 가장 중요한 선수가 4번 타자거든.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