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d라이브러리
"
위도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든 것 보통 산화수 2인 화합물을 만들고 일반적으로 무색 남북 양반구의 20˚~40˚ 정도의
위도
대에 거의 정상적(正常的)으로 있는 고기압 성인(成因)으로는 적도지대에서 상승류(上昇流), 아열대에서 하강류(下降流)가 되는 대기의 대순환 규모의 수직순환(대규모적인 대류〈對流〉)에 의해서 적도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않았다분자궤도의 에너지 준위(準位)를 정성적으로 나타내는 그림 분자궤도 에너지 준
위도
또는 MO도라고도 한다착물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궤도 함수의 선형결합에 의한 LCAO근사법을 취급할 때 원자궤도 함수는 대칭성에 의해 분류되어 각기 π결합 상태가 표시된다주로 화합물 단결정막을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발생하며 그것보다 고
위도
에 출현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흑점이 출몰하는 평균
위도
는 약 11년 주기로 변동한다 파가 등방성인 매질에서 다른 등방성 매절로 들어가 굴절할 때 입사파의 방향과 경계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은 굴절파의 방향과 경계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일치하고 입사각을 i,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규모의 대기운동 대기환류라고도 한다지구에서는 지구의 자전, 복사
위도
에 따라 대기환류가 달라진다바다와 육지의 분포만을 고려한 대기환류는 1차환류라고 하며 대기환류 중에서 이동성 저기압이나 고기압의 규모에 해당되는 대기운동을 2차환류라 하고 이들 환류에 중합되는 소규모의 ...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기계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가진 수지 기능성고분자라고도 한다 지구상의 기압분포에서
위도
30도 부근을 중심으로 몇개의 독립된 단위로 분열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아열대 고압대(亞熱帶高壓帶) 화석두족류(化石頭足類) 중 고틀랜드기(紀)에서 고생대 말경까지 생존한 암모나이트류의 가장 오래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들어오면 림프라고 부른다 혈액처럼 온몸을 돌면서 영양소와 면역 항체를 운반한다중
위도
편서풍대에서 나타나는 풍속이 매우 빠른 강한 바람 대류권 상층이나 성층권에서 불며 길이가 수천km, 폭이 수백km, 높이가 수백m에 달한다 풍속의 변화가 심하고 많은 양의 열과 수증기를 이동시킨다음이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한 부분인 걸프류를 따라 북대서양으로 이동한 따뜻하고 짠 바닷물이 북위 50도 정도의 고
위도
지방에 위치한 영국에 따뜻한 겨울을 선사하는 것은 해양의 컨베이어벨트가 기후에 미치는 좋은 예가 된다.과학자들은 컨베이어벨트가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또하나의 중요한 예를 ... ...
화성의 호수와 얼음, 그리고 생명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위도
별로 얼음이 발견되는 깊이를 보면 극지방에서 가장 얕고
위도
60° 지역에서는 90cm 정도로 깊다. 영국 BBC 방송은 “이렇게 방대한 얼음이 녹을 경우 화성 표면을 5백m 깊이의 물로 모두 덮을 수있을 정도”라고 전했다. 특히 얼음이 풍부한 지역에는 질량으로 따지면 전체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다.아슬아슬 진행되는 접식이번 토성식의 경우 우리나라의 남쪽,
위도
36° 부근에서는 토성이 달의 남쪽 부분을 스치고 지나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를 ‘접식’이라고 한다. 접식은 아무 곳에서나 볼 수 없고, 특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다. 대략 김천 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른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지금부터 대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을 계산해보자. 대적반의 위치는 목성 표면에서
위도
-23.3°, 경도 75° 부근에 위치한다. 즉 목성 적도에서 약간 남쪽 띠에 있다. 따라서 대적반을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원하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