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자기장과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모양을 띤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요.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캘리포니아 롱비치 지역의 지하 1km 구조를 밝히는 데 성공했답니다.나카타 박사는 “일상 진동은 정보의 양이 많아서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며, “더 넓고 깊은 구역까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기들이 뭐라고 남의 목숨을 가지고 이런 일을 벌였을까요? 남아공 탄광 지하에서 말예요. 제가 아는 기준 오빠는 이런 일에 동의했을 리 없다고 끝없이 의심하면서도, 그렇다고 기준 오빠를 깨워 다시 죽게 둘 수는 없었습니다.그러는 동안 비공식적인 프레젠테이션이 계속되었습니다. 총네 팀이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더 이상 퇴적암이 없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첫번째 시추는 성공적이었다. 지하 1250m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는 히말라야산맥 기원의 선상지 퇴적암, 하부는 심해저 퇴적암으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고, 1415m의 깊이에서 고맙게도 현무암(화성기원 암석)이 발견되면서 14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90년대 아프리카에 보급된 ‘플레이펌프(일명 뺑뺑이)’는 아이들이 놀기 위해 돌리면 지하에 있는 물이 올라와 물탱크에 저장되는 놀이기구예요. 하지만 현재 수많은 플레이펌프들은 고장 난 채로 흉물처럼 남아 있답니다. 아이들이 땡볕 아래에서 돌리기에는 너무 힘들었고, 고장 난 뒤 고치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은행털이범 ‘ 자루에 몽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간신히 벌을 피하고 고목 속으로 들어간 썰렁홈즈는 긴 통로를 따라 지하로 미끄러지고 만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그곳은 자루에 몽탕의 비밀 금고! 비밀 금고의 문을 열려고 하자, 금고 벽 너머에서 자루에 몽탕의 목소리가 들려왔다.“우헤헤헤! 그냥 문을 열면 폭탄이 펑! 터질걸? 폭탄을 해체해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큰 결정은 너비 1.2m에 높이가 무려 15m나 된답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결정이라고 해요. 지하 290m 깊이에 있는 이 동굴은 원래 마그마로 데워진 100℃에 가까운 물이 가득 차 있었어요.물속에는 석고가 *포화상태로 잔뜩 녹아 있었는데, 이 석고들이 20~50만 년에 걸쳐 거대한 결정을 만들었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흔들리는 신풍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꼭대기에 ‘감쇠장치’라고 부르는 장치를 얹어 건물 자체가 흔들리는 걸 방지하기도 해요. 감쇠장치는 큰 추나 거대한 물탱크로 이루어져 있어요. 지진 같은 진동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다른 진동을 만나면 서로 합쳐지며 에너지가 없어지게 돼요. 이 원리를 이용해, 건물 꼭대기에 추나 ... ...
- [교과연계수업] 한반도가 흔들~, 한반도가 깜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발생한 강진도 바로 활성단층으로 인해 일어났답니다.경주시가 위치한 경상북도 지하에는 몇 개의 활성단층이 있어요. 한반도의 서쪽에 위치한 인도판과 동쪽에 위치한 태평양판이 양쪽에서 한반도를 미는 힘 때문에 생긴 단층대랍니다. 이 단층대를 ‘양산단층대’라고 해요.이 가운데 경주 ... ...
- [긴급취재] 최대 규모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발생한 강진도 바로 활성단층으로 인해 일어났답니다.경주시가 위치한 경상북도 지하에는 몇 개의 활성단층이 있어요. 한반도의 서쪽에 위치한 인도판과 동쪽에 위치한 태평양판이 양쪽에서 한반도를 미는 힘 때문에 생긴 단층대랍니다. 이 단층대를 ‘양산단층대’라고 해요.이 가운데 경주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십~수백 번씩 지진이 관측됐다. 마그마가 뚫고 올라오는 화도의 길목으로 추정된다. 지하 5km 지점에 마그마가 액체 상태로 모여 있는 마그마 통로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 시추를 해 보지 않고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I 화산 번개화산재 입자들간에 정전기가 일어나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