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 노트] 그저 그렇지 않은 화성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쇄한 음식을 직접 먹어보고(30p),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는 해외 괴짜 과학자를 직접 인터뷰하고(92p), 기사 속 연구현장에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137p) 이야기를 부디 잘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무엇이 새로운지, 무엇이 궁금한지 많이 들려주세요. 과학동아에게 남다름의 기준은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machine language)’라 불린다. 2진수 형태로 0과 1로 표현하는 언어였다. 이 언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다. 물론 컴퓨터가 실제 숫자를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0과 1은 전기 신호의 있고 없음을 나타낼 뿐이다. 때문에 언어를 따로 번역하는 절차가 필요없었다. 기계 언어는 ...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선수 입장~ 찾아라! 도형 올림픽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있어요. 그런데, 다들 어떤 스포츠 경기를 보고 있는 걸까요? 선수들이 뛰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지만, 그러면 재미가 없죠! ‘경기장’만 보고 어떤 경기가 펼쳐지고 있는지 함께 맞혀 봐요! 경기장에 숨은 ‘도형’이 정답을 알려줄 거예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꿀꺽! ... ...
- [똥손 수학 체험실] 내가 만드는 마이보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퍼즐 맞추기 좋아하는 사람, 여기 모여라~! 이번엔 내가 좋아하는 그림으로 직소 퍼즐을 직접 만들어 볼까요? 다각형으로 그림을 조각내면 멋진 퍼즐이 되지요! 다 ... 곡선으로만 이뤄진 ‘원’은 다각형이라고 부르지 않지요. 다각형의 성질을 떠올리며, 퍼즐을 직접 만들어 볼까요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3개의 문제를 풀어보게 했는데 다른 문제들도 원래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쓴 거지 직접 풀었다고 하긴 어려워요. 물론 ‘문제를 푼다’는 정의 자체가 불분명하긴 해요. 우리도 예전에 비슷한 문제를 본 적이 있어야 다른 문제를 풀 수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미래에는 수학자가 챗GPT와 같은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업자가 있다면 뒷걸음쳐 최대한 멀리 떨어지자. 사기꾼이다. 2023년 지구인들은 화성에 직접 가보지 않고도 화성의 지형을 속속들이 알고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이 운영하는 웹사이트 ‘달 및 외계행성 지도학 카탈로그(Lunar and Planetary Cartographic Catalog)’에 접속하면 누구나 쉽게 고도를 반영한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열정을 만날 수 있었다. 신재호 독자(서울 역삼중 1)는 “연구원들이 다양한 장치를 직접 작동시키며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모습에서 후배 과학자들을 위한 노력이 엿보여 감동적이었다”며 “미래에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해 연구하는 과학자가 돼,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고 싶다”고 소감을 ... ...
- [출동, 슈퍼 M] 색종이로 만드는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정사각형인 이유를 알았나요?색종이를 활용해 다양한 모양을 직접 만들어 보세요. 미션 1. 어떤 도형인지 맞혀봐! 그림을 따라 색종이를 접어 보고, 어떤 도형이 완성됐는지 도형의 이름을 적어 보세요. 미션 2. 선대칭 도형을 만들어봐! 색종이를 세로로 절반 접은 다음, 다음과 같이 그림을 ... ...
- [가상 인터뷰] 쥐의 뇌 시상하부에서 거울 뉴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세포야. 그중에서도 거울 뉴런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직접 그 행동을 할 때 작동하는 신경세포지. 옆 사람이 하품하면 따라 하게 되는 것도 거울 뉴런이 반응하는 대표적인 현상이야. 그럼 거울 뉴런 때문에 쥐들이 싸운 거야? 맞아. 그런데 조건이 있어. 연구팀이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몇 ℃ 올랐다는 뉴스만 나오죠. 이는 지구 면적은 매우 넓은데 모든 지점에서 기온을 직접 정확하게 관측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에요. 기온을 관측하는 관측소는 일정 간격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 지구의 평균 기온 값을 낸다면 관측소가 부족한 곳의 기온 값은 덜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