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호가
남비
지지자
냄비
부채
송풍기
선풍기
d라이브러리
"
팬
"(으)로 총 6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초음파연무기(초음파로 액체를 기화시켜 안개를 뿜는 기기)와 블로워(일반
팬
보다 10배 정도 강하게 바람을 내는 기기)를 이용해 눈에 보이는 인공토네이도를 만들었다. 하얗고 뿌연 공기기둥이 S라인을 그리며 빙글빙글 휘돌아 올라가는 모습이 하늘로 오르는 용 같았다. 관람객들이 회오리에 손을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녀석”이다.이것은 프랭크 밀러만의 자유로운 해석이지만 오히려 영화보다 정확하고,
팬
들도 납득시킨다. 프랭크 밀러가 ‘두려움이 없는 사람’ 그린랜턴의 속성을 정확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영화에 등장하는 가장 큰 적인 ‘두려움의 화신’ 패럴렉스가 원래 숙주로 삼은 사람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집을 설계해 발표했다. ➊ 여름에 기온이 올라가면
팬
이 공기를 빨아들여 땅속으로 보내 차갑게 식힌다. 시원해진 공기는 다시 건물 안으로 들어가 냉방효과를 낸 뒤, 점차 온도가 높아지면서 천장으로 배출된다. 건물 외벽은 두께 46㎝ 흙으로 만들어 낮에는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경기를 선보이고 1점대 *방어율, 4할에 가까운 *타율, *완봉승 등 별별 기록들이 탄생해
팬
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오직 1승을 위하여야구 경기는 대부분 긴장감과 속도감이 넘치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글러브’ 속 경기에서는 이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영화 ‘글러브’의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짙다. 꼭 1위가 아니어도 좋으니 6위안에 들어 록 밴드가 끝까지 버텨주길 바라는 소수
팬
의 마음을 보호할 투표 방식은 없는 걸까?그래서 나가수의 1인 3투표제에 누적투표제를 덧붙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반드시 3명의 가수에게 투표하기보다, 좋아하는 A 가수가 오늘 최고의 공연을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3등신의 깜찍하고 귀여운 인형들이 등장한다. 8등신의 아름다운 줄리엣을 기억하는
팬
이라면 3등신의 짤막한 줄리엣을 선택한 감독이 잠시 원망스러울 수도 있다. 이렇게 깜찍하고 앙증맞은 동안 외모의 인형들이 지고지순한 두 청춘남녀의 애틋한 사랑을 과연 잘 표현해낼 수 있을까? 하하, 걱정 ... ...
[수학을 사랑한 스타] 수학 사랑의 종결자 가수 겸 연기자 김정훈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물리, 화학? 대~박. 범상치 않다. 그를 만나 직접 확인해 봐야겠다.지난 4월 10일 제대 후
팬
들에게 새 싱글 앨범을 처음 발표하는 자리에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이날로 제대한 지 42일째라는 그는 시원섭섭하다고 했다.“한 열흘 전만 해도 실감이 안 났어요. 그래도 점차 사회인으로 거의 다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가라앉힐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런 물리학자들의 모습은 열광적인 록 페스티벌에 모인
팬
같아 보였다. 그래서 이 날의 모임을 ‘물리학의 우드스탁’이라고 부른다. 원래 우드스탁은 1969년 8월 미국 뉴욕 근교 우드스탁에서 열린 록 페스티벌을 말한다.고온초전도체에 대한 기대는 노벨상에도 바로 ... ...
The Return of the New Margarine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트랜스지방이 거의 없으며 현재 유제품 코너를 지배하고 있다.그러나 진정한 마가린
팬
들은 버터-마가린이 엎치락 뒤치락하는 과정에서 뭔가를 잃어버린 것을 느낀다. 마가린의 지배적 형태는 단단한 막대 모양이었으나 이젠 이를 보기가 힘들다. 지방을 수소로 경화시켜서 만든 모양이었기 ... ...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가장 선명한 달 뒷면 사진을 공개했다.달은 항상 지구를 바라보며 공전하고 있어 지구에서는 달은 항상 달의 앞면만 볼 수 있다. ... 애리조나대 연구팀은 앞으로 달 뒷면에 산맥과 바다, 크레이터(운석 충돌 등으로 움푹
팬
지형) 등이 생긴 원인을 연구할 예정이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