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VR 속 초파리의 ‘워킹’이 밝힌 시각과 보행능력의 관계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척추 신경계에 강한 상호작용이 있을 것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9월 8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16/j.cub.2021.08.04 ... ...
[한페이지 뉴스]표준모형 넘어설 5번째 힘 범위 좁혔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표준모형은 17개의 기본입자와 중력을 제외한 3개의 기본 힘으로 우주를 설명한다. 지금까지는 가장 완벽한 이론으로 꼽히지만 중력을 설명하 ... 사용해 실험해 측정 오차를 더욱 좁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bc279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우주 날씨를 분석한 뒤 우주방사선의 영향이 가장 적은 시기를 예측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우주 날씨’ 9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29/2021SW002749연구팀은 태양 주기에 따른 우주방사선의 영향과, 우주방사선이 우주선과 탑승객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토대로 방사선으로부터 안전한 우주선을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network·학문의 자유를 지원하고 전 세계 학자의 인권 보호를 위해 조직된 미국 기반 국제
학술
네트워크)를 비롯해 여러 단체가 아프간의 학생과 학자들을 구출하고 있다. 아프간 과학자와 협력했던 연구자들은 아프간 연구자의 이름을 지우는 등 신변 보호에 힘쓰고 있다.이런 상황에서도 아프간의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는 상보성 원리를 관측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 1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i9268양자의 중첩상태를 관측하기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파동함수의 붕괴다. 시스템 내부에서 양자를 관측하면 상보성이 사라지고 ... ...
[한페이지 뉴스] 세로토닌이 코카인 중독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중독을 유발하는 뇌 기전을 밝히고, 코카인 중독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알아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9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i9086 코카인은 마약의 한 종류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의 재흡수를 차단해 뇌 속에서 이들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 ... ...
[한페이지 뉴스] 맛있는 차 알아보는 과학적인 방법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찻잎을 우려낼 때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만들어지는 얇은 막의 생성 조건을 찾아 국제
학술
지 ‘AIP 유체물리학’ 9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63/5.0059760차를 우리는 물의 탄산칼슘(CaCO3) 농도는 차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탄산칼슘이 전혀 없는 물은 떫은 맛이 나지만, ... ...
[한페이지 뉴스] 북해 아래 잠든 빙하기 땅이 드러났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일대를 뒤덮었던 빙하가 만든 지형을 이전보다 정밀한 3차원(3D) 지도로 구현해 국제
학술
지 ‘지질학’ 9월 8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30/G49048.1 연구팀은 북해 해수면 3m 아래에 지진파 발생 장치를 설치해 얻은 고해상의 3차원 지진파 반사 데이터를 분석해 3차원 지형 지도를 제작했다.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도입되면서 네모꼴 글자를 사용하기가 힘들어졌다. 1976년 조영제 서울대 미대 교수가
학술
지 ‘조형’의 창간호에 ‘한글기계화(타자기)를 위한 구조의 연구’라는 제목으로 최초의 탈네모꼴 글꼴을 발표했다. 탈네모꼴 글꼴은 마치 글자의 닿자(초성)가 빨랫줄에 걸려 있는 것처럼 받침에 따라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심지어 가시가 돋아있는 캐나다호저의 털을 뽑아간 사례도 한 건 있었습니다.
학술
논문 속 털을 뜯긴 동물 11마리 중 열 마리는 새를 아예 무시하거나 가만히 있었다고 하네요. 연구원팀은 이 현상에 ‘클렙토트리키(kleptotrichy)’란 이름을 붙였습니다. ‘훔치다’란 뜻의 그리스어 ‘klepto’와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