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회"(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 지역에 약 500년 주기의 기후변동이 일어났음을 밝힌 논문이 국제학술지인 ‘미국지질학회지(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에 실리기도 했다. 최근엔 연구 영역이 훨씬 더 확장됐다. 2013년 초에는 한국의 쇄빙선 아라온호를 타고 웨델해 서쪽에 있는 라슨 빙붕 지역을 탐사하고 관측 장비를 ...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가 쉬워지면 투자 비용도 줄어들기 마련이다. 올해 6월 열리는 ‘유럽정보시스템학회(ECIS)’에서 발표되는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의 보고서에 따르면 초당 14테라해시(1TH는 1012해시)로 장비를 운영할 경우 약 1.3~1.4킬로와트시(KWh)의 전기를 사용하며, 이때 비용은 미국을 기준으로 1300달러(약 14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건강한 상태의 분변을 보였다. 연구진은 지난해 4월 미국에서 열린 ‘미국실험생물학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윤 연구원은 “유산균 초콜릿을 섭취한 쥐의 분변에서 유익균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비피더스균은 12배, 락토바실러스균은 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경희대와 ...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자기력 커져 물 마시기도 어려워엔트로피 문제도 걸린다. 박용섭 한국물리학회 대중화 위원회 위원장(경희대 물리학과 교수)은 “사람뿐 아니라 물체의 크기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영화의 설정처럼 사람의 크기가 마술처럼 줄어든다면 무질서한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후변화가 지목된다. 18개국의 해양생물학자가 ‘미국기상학회보(BAMS)’ 1월 13일자에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에는 “인간이 야기한 기후변화 외에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발생한 대규모 백화 현상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국내 실정에 맞는 자살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2년 한국심리학회지에 실린 ‘한국자살 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 논문에 따르면 자살한 이들은 사망 전 4주 이내에 의사를 만나거나, 정신과 약물치료를 했던 과거 기록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결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관련된 세포의 감수분열과 인간의 난자 형성 과정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미국산부인과학회에 따르면 임신 진단을 받은 사람이 자연 유산을 겪을 확률은 15~20%입니다. 강의 때 이를 언급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깜짝 놀랍니다. 발생률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높다고요. 이처럼 자연 유산에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2.9배이고, 중심별을 동심원 궤도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마약성 진통제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권경희 동국대 약대 교수팀이 2014년 ‘약학회지’에 발표한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마약성 진통제의 최근 13년간 사용 경향 조사’ 논문에 따르면 2000년도에는 그 경향이 120.5DDD/1000-HS였던 반면, 2012년에는 197.7DDD/1000-HS으로 64.1% 증가했다. ※ DDD/100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