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로봇 보드를, AI 반도체 전문가인 김정호 KAIST 교수가 AI 보드를, 그리고 전 그룹장이 NASA 보드를 이끈다. 사이언스 보드에 올라타고 꿈과 미래라는 파도를 넘실넘실 타고 넘길 바란다. 파도 너머에, 무엇이 있는지는, 저도 여러분도, 아직 모른다. 마스 2020처럼, 미지를 향한 도전이야말로 과학이 갖는 ... ...
- “지구에서 화성을 탐사하는 즐거움 느껴보세요”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향해서 귀를 기울이고, 가슴을 열고, 눈빛을 빛내는 대중과의 만남은 특별하다”며 “NASA의 연구와 연구자로서의 삶에 대해 깊게 이야기 나누는 자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직전의 별이에요. 사라지기 전, 순간적인 폭발을 일으키는 모습이지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초신성 폭발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티코를 20년째 관측하고 있어요. 2019년 10월에도 최신 이미지를 발표하면서(위 사진) 폭발로 인해 지구에서 멀어지는 물질은 빨간색, ... ...
- 나랑 같이 보드 탈래? 과학동아 사이언스 보드 오픈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바로가기 ☞ ROBOT 어드바이저 -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바로가기 ☞AI 어드바이저 -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바로가기 ☞NASA 어드바이저 - 전인수 NASA JPL 우주환경그룹장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예로 들었다. 2016년 개봉한 영화 ‘히든 피겨스’를 보면 196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 건물에 흑인 여성이 쓸 수 있는 화장실이 없어 주인공이 다른 건물까지 뛰어다니는 장면이 나온다. 그런데 국내 원자력발전소에도 얼마 전까지 내부 구역에 여자화장실이 없었다. 직원이 대부분 남자였기 ... ...
- 우주로 갔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선 아직 연구가 필요하지요.이에 2014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장기간 우주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적응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20마리의 쥐를 스페이스X-4에 실어 우주로 보냈어요. 이전에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실험 쥐를 보낸 바 있지만, ISS에 특별히 설계된 연구용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2018년 8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북극-북방 취약성 실험팀은 북극 영구동토가 녹는 속도가 식물이나 조류의 광합성 속도에 비해 매우 빨라 온실 기체가 대기 중에 쌓인다고 분석했어요. 특히 영구동토가 빨리 녹으면 지반이 꺼지며 물이 ... ...
- 미세먼지 많은 겨울철, 창문 열어? 말아?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와 기간을 달리해 공기 정화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NASA가 발표한 식물을 포함해 방안을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은 식물을 두고 수주 이상 지나자 일부에서 효과가 나타났다”며 “학생들과 식물의 개수, 기간 등을 달리해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추가로 진행했지만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9월 1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 비행사 닉 헤이그가 ISS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트위터에 공개했어요. 사진에는 사람의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서부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천천히 움직이도록 설계해야 안전하다. 세계에서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버 ‘오퍼튜니티’도 최대 시속 0.18km로 11년 동안 고작 45.16km를 움직였다. 한국형 달 탐사 로버는 이보다 약간 느린 시속 0.14km로 움직인다. 시연 현장은 최대한 달 중력 환경을 구현했다.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