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바탕"(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초의 전화 발명가는 '벨'이 아니다?!기사 l20210101
- 오늘은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아드리기 위해 이 기사를 썼습니다. 오늘날 통신 세상이 열릴 수 있게 된 바탕에는 '전화'가 있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으며 안부를 물을 수 있다는 것은 현대과학기술의 선물입니다. 요즘은 휴대 전화에 그 자리가 많이 밀렸지만 여전히 전화는 전세계 가정의 필수 ...
- 너무 너무 심심해서 표지 만들어 드려요!(?)포스팅 l20201231
- 제목처럼 표지 만들어 드릴게요!! 양식 (예) 제목: 이상한 나라의 도서관 배경: 파란색 바탕에 도서관이 들어가있게 글씨: 또박또박하게 사람: 들어가지 않게 기타: 작가이름을 신지우라고 넣어주세요!! 대충 이렇게 적어주세요!! 적어도 내일까진 만들어드릴게요!!(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 신비한 과자가계가 있다?! 전천당 후기기사 l20201224
- 과자가계이다. 이 가계의 과자를 먹은 손님들은 행운과 불행의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 이 책의 좋은점 전천당은 위 줄거리를 바탕으로 각 챕터마다 주인공이 다릅니다. 과자 하나당 한 사람을 소개해 주는데 그 과자들을 보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특이하고 신기한 과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그중 괴도 롤빵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괴도 롤빵 ...
- 음....타블렛 있으신분??(부탁 드릴꼐 있어요)포스팅 l20201224
- 그게요 나의 아저씨를 고등여자 아이랑 큰 남자 어른 사리에 글씨를 넣어서 분홍색으로 바탕을 칠해주실 분을 구해요 ㅠㅠ 대충 이중에서 그리시는분 편한걸로...그리고 바탕은 핑크요! ...
- 우리 삶에 도움을 주는 개기사 l20201223
- 그레이 하운드 등이 선호된다고 합니다. 리처드 레니(Richard Lanni) 감독의 ‘캡틴 스터비(Sgt. Stubby: An American Hero)’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인데 용감한 군견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도베르만, 사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셰퍼드, 사진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리트리버, 사진 출처: 네이버 ...
- 우리가 쓰는 아이패드, 로고에 비밀이?기사 l20201218
- 암호기 에니그마를 해독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앨런 튜링이죠. 앨런 튜링은 ‘자동 해독’ 이라는 아이디어를 내놓아 이를 바탕으로 1943년 컴퓨터의 전신인 2,400개의 진공관을 가진 전자식 암호기 콜로수스를 개발해 영국군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튜링은 세계2차 대전 이후로 끔찍하게 살았는데요, 성격이 괴팍한데다가 동성애자였던 튜 ...
- 사과 먹으면 이빨이 썩는다고?기사 l20201216
- 도대체 어째서 이빨이 썩는다는 걸까요? 영국 킹스칼리지 런던 치과 연구소 데이비드 바틀렛 박사 연구팀은 성인 남녀 1000여 명을 바탕으로 이에 관한 실험을 하게 됩니다.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음식이나 간식들이 우리 치아에 끼치는 영향' 그 결과 사과는 당도가 높을 뿐더러 오랫동안 씹어야 하고, 사과의 산성 물질이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기 ...
- 12월 기억한 DAY {무역의 날}기사 l20201213
- 경쟁력을 갖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도 합니다. 수출 경쟁력이 높은 상품이 많으면 많을수록 수출을 많이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나라의 경제가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우리나라의 특산품을 알아볼까요? 1.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Display)는 TV, 모니터, 최근에 와서는 VR 등 인간에게 빛을 이용하여 시각적 정 ...
- 맹독을 가지고 있는 무서운뱀 TOP 5기사 l20201205
- 머리는 작고 좁으며,몸의 바늘은 작고 조밀하고,다 자란 킹코브라는 누런 갈색 또는 푸른빛이 도는 회색이고,어린 킹코브라는 어두운 바탕색에 노란 가로 줄무늬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문제! 사진에 나와있는킹코브라는 아기일까요,다 자란 코브라일까요? 그럼 댓글로 알려주세요! 그럼 코브라 이야기를 계속 해볼까요? 머리 뒤쪽에 한 쌍의 후후두 ...
- 수험생분들에게도움되는 과학지식포스팅 l20201202
- 여겨졌으나, 이 실험을 통해 간섭이 확인됨으로써 반증되었다. 이 실험 결과는 당시 뉴턴 역학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에테르 이론에 바탕을 둔 빛의 파동이론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발표되고 난 후 1927년 클린턴 데이비슨과 레스터 저머가 전자를 대상으로 이중 슬릿 실험을 하여 입자성과 파동성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