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쓸모없는 줄 알았던 '정크유전자' 알고보니 노화·발암에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5.15
주영석 KAIST 교수. KAIST 제공 사람의 진화 과정에서 불활성화된 것으로 알려진 '정크(쓰레기) 유전자'가 사실은 신체에서 활성화돼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확인했다. 이 유전자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됐다는 사실도 규명됐다.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L1 점핑 ... ...
원전시설 지진 감시망 더 '촘촘히'..."1초만에 감지 후 3초 내 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안전을 지켜낼 수 있는 조치들을 많이 해왔다”고 말했다. 유 청장에 따르면 기상청이
관여
한 설비는 지진기반가속도 0.3g(규모 7.0)의 지진 충격에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설비뿐만 아니라 경보시스템 품질 유지에도 양 기관은 긴밀하게 협력할 방침이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기상청은 국가 ... ...
뿌리 유전자 진화시키며 가뭄에 더 강해진 옥수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곡물이 가뭄에 버티는 능력에
관여
하는 모든 요인을 종합한다는 구상이다. 번바움 교수는 “곡물의 세포가 척박한 외부 환경에 버틸 수 있는 비결을 찾기 위해선 세포의 작용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 ...
난치병 유전 막기 위한 '세 부모 아기' 영국서 첫 출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5.10
태어난 아기는 부모와 난자 기증자 총 3명의 DNA를 갖게 됐다. 다만 미토콘드리아에
관여
하는 유전자가 전체 유전자 중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아기 DNA의 99.8%는 부모로부터 전달받게 됐다. 미토콘드리아 기증 시술에도 위험은 있다. 기증자의 난자에서 옮겨지는 아주 적은 수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파킨슨병 발병 일으키는 세포 3차원 DNA 지도 작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관여
하는 것을 밝혀냈다. 비정상적인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은 파킨슨병의 원인·진행에
관여
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정인경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암·당뇨 등 다양한 복합유전질환 규명에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 ...
미세먼지, 치매 원인 유전자 자극해 발병률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결과를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병저널’에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지질 대사에
관여
하는 단백질 생성 정보를 가진 유전자 ‘APOE’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강력한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혈류에서 콜레스테롤과 지방 수송에 중요한 단백질을 생성을 지시하는 이 유전자가 제대로 기능하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갈구하게 된다. 다른 시스템도 그렇지만 진화적으로 오래된 것일수록 몸의 많은 영역에
관여
하는 경향이 있다. 병이나 노화로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 활성에 문제가 생겼을 때만 이를 조절하는 약물을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제로 절제해서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도 어느 정도의 부작용을 피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240여종 포유류 유전체로 본 진화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30
발현에 따른 뇌 부위 조직세포의 발달 양상을 살폈다. 분석 결과 소두증과 대두증에
관여
하는 특정한 유전자가 확인됐다. 머리둘레가 기형적으로 형성되는 이 질병들은 뇌의 발달과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다양한 뇌 관련 질환 치료의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윌리엄 머피 미국 텍사스A&M대 ... ...
100년 전 알래스카 마을 구한 썰매견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발현에 따른 뇌 부위 조직세포의 발달 양상을 살폈다. 분석 결과 소두증과 대두증에
관여
하는 특정한 유전자가 확인됐다. 머리둘레가 기형적으로 형성되는 이 질병들은 뇌의 발달과도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다양한 뇌 관련 질환 치료의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윌리엄 머피 미국 텍사스A&M대 ... ...
식욕 개선하는 세계 최초 먹는 '전기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전기자극으로 식욕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서 출발했다. 연구팀은 허기에
관여
하는 호르몬인 ‘그렐린’에 주목했다. 위에서 합성되는 이 호르몬은 배고픔에 반응해 음식을 섭취하도록 만든다. 뇌 시상하부에서 식욕 증진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뉴로펩타이드Y(NPY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