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과학기술 시네마]3관.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09.21
31건을 분석했다. 심 교수팀은 X선 형
광
분석기를 이용해서 금사의 성분을 알아냈다. X선 형
광
분석기는 시료에 X선을 쪼였을 때 시료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X선의 파장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 분석하는 장치다. 분석 결과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얇은 ... ...
KIST, 가상현실용 모션 캡처 기술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다채널
광
계측기’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KIST는 2016년 1월부터
광
섬유 기반 가상현실용 인체 모션 캡처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 ...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13
만든 산성용액으로 표면을 닦으면 산의 작용으로 구리 산화물이 없어지고, 유물에서
광
이 나게 된답니다. ☞엘도라도 전시정보 확인 박쥐인형 장신구 얼굴은 사람, 몸은 박쥐! “이 유물은 미키마우스를 닮았어요!” 전시를 관람하던 이민재 기자가 ‘사람 모양 장식’을 가리키며 이처럼 ... ...
진짜 총천연색 TV 개발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양산화 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석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함유
광
결정을 활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개발에서 중요한 토대를 쌓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소재분야 저명 학술지인 '머티리얼스 호라이즌스(Materials Horizons)'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초고해상도 OLED 제작기술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있다. 유병곤 ETRI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은 디스플레이 뿐 아니라 태양전지와
광
검출기에도 활용될 수 있다”며 “자동차나 건물 등의 유리, 조폐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영국 화학회 학술지 ‘나노스케일(Nanoscale)’과 미국 화학회 학술지 ... ...
효율높고 열에도 강한 태양전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사용했다. 이렇게 개발된 개발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
광
전환효율’이 20.5%로 높게 나타났다. 또 고습 및 고온에서 장기 안정성도 우수해 140시간이 지난 후에도 초기 효율의 93%를 유지했다. 기존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같은 시간을 사용하면 초기 효율의 43%로 ... ...
빛으로 치료 하는 ‘
광
스위치 단백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있다. 김학성 교수는 “한 두가지 단백질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광
스위치 단백질을 개발할 수 있는 설계 기술을 정립한 것이 이번 연구의 가장 큰 성과”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화학분야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이달 20일 자에 실렸다. ... ...
‘맞춤 생산’ 가능한 메타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했다고 소개했다. 또 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고해상도 반사형 디스플레이, 고효율
광
전소자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홍성훈 책임연구원 ”이번 기술개발로 메타물질 및 활용 범위가 다양해질 것“이라며 ”향후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서블 메타물질’ 제작 방법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 ...
스스로 발전하고 빛에도 반응하는 ‘에너지수확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초소형 발전 장치를 개발하려는 노력은 각계에서 진행되고 있다. 압력을 전기로 바꾸는 ‘압전소자’, 진동을 전기로 바꾸는 코일소자 등을 이용해 버 ...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Nano energy)’에 8월호에 게재됐다. 제주대 연구진이 개발한,
광
센서 기능이 들어간 감압소자. 제주대 제공 ... ...
[사이언스지식IN] 자외선 주의보! 자외선 차단제 주의보? 차단제 성분 알고 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6.09
엘라스틴을 만들어내는 층입니다. 자외선 A는 콜라겐을 손상시켜 주름을 일으키고
광
노화의 원인이 됩니다. 자외선 B는 표피층 또는 진피층의 상층부까지만 도달하는데요. 자외선 B에 많이 노출되면 화상에 해당하는 피부 홍반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피부암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 두 자외선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