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랑말랑 '하이드로젤'이 게임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기억을 바탕으로 게임을 더 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코티컬 랩스가 이용한
뇌
세포보다 하이드로젤이 더욱 간단한 시스템으로 게임을 한다"면서 "매우 단순한 재료도 생명체나 정교한 AI와 관련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https://doi.org/10.1016/j ... ...
한국 마약 ‘비상’...전자약 등 치료연구에도 관심 가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뉴아인은 삼차신경과 미주신경 자극을 통한 마약 중독 치료법을 찾고 있다. 한국
뇌
연구원은 디지털치료제를 통한 중독 재활을 연구중이다. 마약류 종류와 중독 단계별 생체신호, 생물학적 지표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든 뒤 중독 물질별, 증상별, 개인별 재발성을 예측하고 재활 예후를 가늠할 수 ... ...
뇌
전기신호 측정 100년…"이르면 10년 뒤
뇌
파로 발작·종양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지적이다. 사람의 감정 상태를 마케팅 등에 오용·악용할 가능성도 있다. 연구팀은 "
뇌
전도를 AI 및 가상현실(VR) 기술들과 접목해 발전시켜 나가되 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있어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함께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doi.org/10.1038/s41562-024-01 ... ...
[과기원NOW] DGIST, 세포 손상 막는 '채널' 작동 원리 밝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조절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에 밝힌 작동 원리는 암과
뇌
졸중 같은 질병에서 세포 손상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15일 게재됐다. ■ KAIST는 GS건설과 ‘스마트시티 기술 선도 ... ...
인공와우 이식, 청력뿐 아니라
뇌
기능 회복도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난청 환자가 늘어나는 초고령사회에서 인공와우가 대
뇌
기능 유지를 돕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고도난청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제공 ... ...
美 진출 첫 국산 항암제 유한양행 '렉라자'는 어떤 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8.21
뇌
전이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 대상으로 렉라자를 적용한 임상 연구에서 환자의 55.3%가
뇌
종양 감소 결과를 보였다. 렉라자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개발한 신약 중 FDA 승인을 받은 9번째 의약품이자 첫 항암제로 앞으로 국내 신약이 글로벌 진출을 하는 초석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 ...
퇴행성
뇌
질환 원인
뇌
위축 패턴 찾았다…
뇌
영상 5만장, AI로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노화로 손상이 일어난
뇌
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만개의
뇌
스캔 영상을 분석한 결과 노화나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뇌
위축의 다섯 가지 뚜렷한 ... 연구에선 더 다양한 민족의
뇌
데이터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신경학적 상태를 반영한
뇌
의 변화를 관찰할 계획이다 ... ...
뇌
자극 자동 조절해 파킨슨병 환자 맞춤형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4명 중 3명은 삶의 질이 더 좋아졌다고 응답했다. aDBS가 다양한 수면 상태와 관련된
뇌
활동을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입증됐다. 기존 DBS와 달리 파킨슨병 환자의 주요 증세 중 하나인 불면증을 완화할 가능성도 확인된 것이다. 연구팀은 "개인별로 증상을 조절하고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을 ... ...
실제 음악 맞춰 꿈 속에서 춤춘다?…자각몽 제어 연구성과 '속속'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다트나 동전을 던지는 등의 신체 동작을 연습하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어려운
뇌
졸중 환자의 신체 회복을 돕거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각몽의 빈도를 높이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에 따르면 인구의 약 절반이 일생 동안 ... ...
BCI 장치 이식한 루게릭병 환자, 다시 '말할 수 있게'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9
기쁨에 겨워 눈물을 흘렸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두 번째 실험은 BCI 장치가 이 환자의
뇌
활동 패턴을 1시간 30분 가량 학습한 뒤 진행됐다. 그 결과 12만5000개의 단어를 변환하는 동안 정확도는 90.2%에 달했다. 추가적인 학습을 통해 정확도를 97.5%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이후 환자는 32주에 걸쳐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