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물
단순물
뉴스
"
단순한것
"(으)로 총 1,9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1958년 51세인 할랜드 우드 교수(왼쪽)의 연구실에 들어온 32살 늦깎이 대학원생 라르스 융달(가운데)은 혐기성 박테리아 무렐라 써모아세티카(오른쪽)가 이산화탄소에서 아세테이트를 만드는 대사 경로를 규명하는 연구 주제를 받았다. 두 사람은 그 뒤 30여 년 동안 협력해 대부분을 밝혔고 지금은 ' ... ...
CCTV로 범죄 가능성 예측…'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팀이 CCTV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개발한 범죄 예방 기술인 '데자뷰' 기술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ETRI 제공 미래를 배경으로 한 SF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는 범죄를 사전에 예측하고 경찰이 미리 출동해 이를 예방하는 기술이 등장한다. 국내 연구팀이 폐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디지털 교과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참관객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내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AIDT)가 등장한다. '지식·개념 교육은 완벽한 수준별·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 ... ...
시험관 시술 성공률 7% 높이는 먹는 알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자궁내막에 직접 작용하는 난임 치료제가 출생률을 높인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시험관아기 시술 성공률을 7% 가량 높이는 먹는 알약이 개발됐다. 호르몬 조절이 아닌 자궁내막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제다. 스페인 제약기업 옥소라이프는 체외 인공수정한 배아의 ... ...
"배양육 연구실에서 '문과 박사과정생' 채용...경제성 검토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조남준 싱가포르난양공대 석좌교수가 11일 서울 강남 과학기술회관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커피 찌꺼기를 가치 있는 자원으로 바꾸는 주제의 논문은 현재 70만 편 이상이 발행됐지만 정작 산업화된 기술은 아직 없습니다. 연구실에선 산업화 단계에서 필요한 비용이나 규제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다양한 종류의 김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공 8일 전북 남원지역 학교에서 식중독 의심 환자가 1032명까지 집계된 이후 다행히 의심 환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 본격적인 역학조사가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이들 학교에 공통으로 납품되고 있는 일부 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김치가 식중 ... ...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뇌와 몸집의 크기가 항상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Orl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몸집 크기에 비례해 뇌 크기가 계속 커지는 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정 수준에 이르면 더 이상 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크리스 벤디티 영국 레 ... ...
소아청소년 '중증 아토피' 가파르게 증가…전신질환 동반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아토피피부염 중증환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JV_LJ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증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는 소아청소년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아토피피부염 소아청소년 환자는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염증성 장질환 등 만성 전신질환을 동반할 확률이 높아 초기 개입 ... ...
부식·누수 없는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 기술 개발…"화재예방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링타입 배관이음 시스템의 구성 부품. KICT 제공 스프링클러는 화재 예방과 초기 진화에 쓰이지만 배관이 부식돼 화재 발생 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 국내 연구팀이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부 부식·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용접 배관이음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독일도 의사 부족...AI의료영상 판독, 선택 아닌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7.01
얀스 포겔-클라우센 독일 하노버 의대 교수가 인터뷰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10년 후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는 독일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곧 만성적인 의사 인력 부족이 문제가 될 것입니다. 인공지능(AI) 의료영상 판독 기술은 질환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