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성
뉴스
"
둘임
"(으)로 총 1,99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생산한 그린수소 일본 탄소중립 목표량 충족
동아사이언스
l
2021.12.03
중국 북부 후베이성의 푸티섬 부근의 해상풍력 발전소에는 300MW(메가와트)급 풍력터빈 75기가 설비돼 있다. 연합뉴스 제공. 중국의 해상 풍력 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수소(그린수소)의 양만으로도 일본이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세운 수소 생산량을 충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하버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전역학에서 양자역학으로
2021.11.25
1927년 10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5차 솔베이 회의’에 참여한 학자들이 모여 찍은 사진. 5차 회의 주제는 ‘전자와 광자’로, 양자역학이 만들어 낸 물리학의 위기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핵심 논의사항이었다. 아인슈타인(왼쪽에서 다섯번째), 마리 퀴리(왼쪽 세 번째)가 보이고 둘째줄 맨 ... ...
사랑스러운 고양이와 아기
팝뉴스
l
2021.11.24
팝뉴스 제공 해외 SNS 화제의 이미지로 떠오른 사진이 네티즌들의 마음을 따스하게 만들었다. 사진의 주인공은 아기와 고양이. 둘은 얼굴을 비비고 있었는데 고양이가 아기의 이마에 입술을 맞추었다. 고양이는 사랑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화의 한 장면 같은 사진은 해외 ... ...
영화 ‘아마겟돈’ 현실로…NASA, 소행성 충돌 우주선 24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NASA의 다트 미션 상상도. NASA 제공. 지구로 돌진하는 거대한 소행성에 도착해 소행성에 구멍을 뚫어 핵탄두를 설치한다. 소행성을 둘로 쪼개 지구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다. 1998년 개봉한 미국 할리우드 영화 ‘아마겟돈’의 줄거리다. 영화 속에서의 실험이 현실에서 이뤄진다. 미국항공우주 ... ...
동물의 수가 ‘–10마리’? 생명과학Ⅱ 20번 문제 오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1.11.21
2022학년도 수능 생명과학Ⅱ 20번 문항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생명과학Ⅱ의 가장 어려운 문항인 20번 문제에 오류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21일 17시까지 생명과학Ⅱ 20번 문항에 대한 이의신청이 66건 접수됐다. 이 시각까지 접수된 이 ... ...
사람 뇌, 언제나 '두 수' 이상 내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7
정동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회적 환경에 속한 인간이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에 관한 원리를 뇌과학적으로 찾아냈다고 17일 밝혔다. UNIST 제공 사람이 인간관계에서도 2수 이상 앞을 내다보는 전향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둑이나 체스를 둘 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음식은 암 치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2021.11.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에 걸린 사람은 식단이 병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궁금해할 것이다. 인터넷 정보와 의사, 영양사들이 다양한 권장 식단을 제시하고 있지만 종종 서로 부딪치는 내용이다. (중략) 의사들이 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조언하는 식단을 짜는 데 근거가 될 양질의 데이터가 ... ...
야구장 치맥 가능해도 응원·함성 참으세요…정부 "금지 지키도록 조치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1.11.02
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2021 신한은행 쏠(SOL) KBO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 키움 히어로즈와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서 관중들이 응원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단계적 일상회복 첫날인 1일 열린 프로야구 경기에서 관중들이 육성 응원과 함성을 지른 데 대해 정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마다 노벨 과학상은 3일에 걸쳐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순서로 발표된다. 그런데 대중과 언론의 관심은 갈수록 떨어지는 것 같다. 올해 노벨상이 전형적인 예로 첫날 노벨생리의학상 업적인 온도수용체와 촉각수용체 발견에 대해서는 꽤 흥미를 보였지만 둘째 날 노 ... ...
암세포 증식 막을 실마리 찾았다…새로운 세포분열 원리 규명
연합뉴스
l
2021.10.26
생명연, 베타 카테닌 단백질에 의한 세포질분열 조절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경호 박사 연구팀이 세포 내 '베타 카테닌(βcatenin) 단백질에 의한 새로운 세포분열 과정을 밝혀 암세포 증식을 막을 실마리를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세포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