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뉴스
"
밑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본인도 사기를 당해 집을 빼앗기고 빚까지 진 채 둘째 미란(나혜미)과 한강 다리
밑
에서 노숙하는 신세가 된다. 드라마는 자매가 좋은 남자들(각각 기업가 3세와 치과의사)을 만나 팔자가 피는 이야기로 전개될 것 같다. 물론 식상한 설정이지만 실제 우리 주변을 보면 유복하게 살다가 사업실패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가득 채우면 물이 사라지는 마법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21
올라오지 않게 하는 데도 사용하지요. 집에서 변기의
밑
부분을 확인해 보세요. 변기의
밑
에는 S자로 굽은 부분이 있어요. 평소에는 물이 고여 있어 하수도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막아주죠. 변기의 레버를 내리면 사이펀의 원리로 오물을 쉽게 흘려보낼 수 있답니다. 관련 기사 :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충돌한 흔적이 확인됐다.-덴마크 자연사박물관 제공 그린란드의 북부 히아와타 빙하
밑
에서 프랑스 파리보다 큰 거대 운석 충돌 흔적이 발견됐다. 쿠르트 크재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자연사박물관 지리유전학센터 교수 연구진은 그린란드 북부의 빙하층에서 지름 1.5㎞ 규모의 소행성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디스플레이 크기와 최적시청거리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다. 맨 위 선이 2K HD 영상이고
밑
에서 두 번째가 4K UHD 영상, 맨 아래가 8K UHD 영상이다. 55인치 TV의 경우 HD 영상의 최적시청거리가 2.18m다. 이보다 먼 거리에서 TV를 보면 해상도로는 HD 영상과 UHD 영상을 구분할 수 없다는 말이다. 세로축 ... ...
[표지로 읽는 과학] 분자에 주목하라 '보텀업 세포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하향식으로 접근했다. 하지만 최근 생명공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공적으로 세포를
밑
단에서부터 재구성할 수 있게 됐고, 이런 상향식 접근을 통해 이전에는 밝혀내지 못했던 복잡한 생명현상의 단서를 찾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있다. 인공세포를 만들기 위한 과학자들의 노력은 20년 전부터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녹조류에서 뽑아낸 세포로 얇은 세포 필름을 만든 다음, 이
밑
에 수많은 바늘 모양의 전극을 붙이는 방법으로 전자를 추출했다. 기존의 태양광 발전 기술은 실리콘 등 일부 전자회로가 햇빛을 받을 때 생겨나는 전기를 포집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생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 ...
‘인스타 스타’ 아보카도, 알고보면 환경파괴 주범
과학동아
l
2018.10.27
멕시코 국립산림연구소 연구원은 2016년 8월 10일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소나무 가지
밑
에서 아보카도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며 “농부들이 (아보카도 나무를 키우기 위해) 소나무를 완전히 잘라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탄소발자국 수치를 낮춘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친환경 식품이 ... ...
따뜻한 지구가 낳은 괴물 '슈퍼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해요. 많은 양의 비를 동반한 강력한 태풍은 홍수를 발생시킨답니다. 그러면 땅
밑
에 묻혀 있던 폐기물들이 물과 함께 뒤섞여 땅 밖으로 나오면서 주변 하천과 바다를 오염 시키지요. 태풍 플로렌스가 지나간 뒤 미국 동부 해안가를 찍은 위성 사진. 오염 물질이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 ...
오리 잡아먹은 물고기
팝뉴스
l
2018.10.18
오리를 잡아먹은 것이 놀랍다는 반응을 보인다. 어린 오리는 맹금류뿐 아니라 발
밑
의 물고기까지 경계해야 했던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주로 사는 곳은 온도, 습도 등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견딜 수 있는 산이나 숲의 땅
밑
이어서 인간과 충돌할 일이 거의 없다. 풀숲에서 갑자기 마주칠 때 자신의 집과 새끼를 지키기 위해 공격성을 보이지만 굳이 인간과 일삼아 싸우지는 않는다. 게다가 독성도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보통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